사업공고 상세

목록
대전공고

- 특허기술기반기업의 세계화 지원을 위한 2017 동유럽기술비즈니스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공고일

2017-03-16

접수기간

~

조회수

339

등록일

2022-05-25

URL https://www.djtp.or.kr/sub010101/view/page/107/id/3242

특허기술기반기업의 세계화 지원을 위한 2017 동유럽기술비즈니스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작성자
한*희
작성일
17.03.16
조회수
3313
상태
완료

특허기술 기반 기업의 세계화 지원을 위한

2017 동유럽 기술 비즈니스 상담회참가기업 모집

 

대전광역시의 IP(Intellectual Properties, 지식재산) 중심의 유망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에 대하여 기술교류 등 해외 마케팅 지원으로 동유럽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2017 동유럽 기술 비즈니스 상담회참가기업을 다음과 같이 모집합니다.

 

20173월 16일

 

재단법인 대전테크노파크원장

1. 사업개요

 

행 사 명 : 2017 동유럽 기술 비즈니스 상담회(특허기술 기반 기업의 세계화지원)

주 최 : 대전광역시

주 관 : 대전테크노파크 지식재산센터 

협력기관 : KOTRA (충청권 지원단, 현지 무역관)

개최장소 : 루마니아(부크레슈티), 불가리아(소피아) 

행사기간 : 20171022() ~ 1029() / 예정 

참가품목 : 종합품목 

지원내용

구분

지원내용

공통

항공료 40% 지원(업체당 1명 이내) 현지 이동 차량 지원(대형버스)

홍보용 브러슈어 제작 : 상담회에 활용할 홍보물 제작 지원(소개자료)

행사장 임대(상담회장 및 부대시설)

기술로드쇼 행사 당일 중식 또는 석식(만찬 또는 간담회) 제공

사업화

지 원

현지 시장조사 지원 : 참가기업 기술 및 제품의 현지 시장 적합성 조사 지원

바이어발굴 및 연계

- KOTRA를 통한 현지 바이어 발굴 및 연계

- 참가 기업과 현지 바이어간 정보교류 및 상담회 개최 지원

현지 기업홍보 : 참가업체의 현지 시장 및 바이어 대상 홍보 지원

통역

 

지원

통역지원(상담회 개최 당일)

- 기술상담회 진행시 통역지원(참여기업 당 통역 1)

상담회 개최 당일 외 통역 활용 시 기업부담

중복신청 제한 : 대전시 연간 시장개척단 참가 횟수 최대 2

2. 기업모집 및 선정 

모집기간 : 2017316() ~ 45()

규 모 : 6개 기업 내 

소요예산에 따라 예비기업(1) 추가 지원

신청자격 : 대전소재 중소벤처기업

대전소재 중소벤처기업의 정의

본사 주소가 대전인 경우(사업자등록증 주소)

주사업장 주소가 대전인 경우(공장등록증 상 주소)

기업부설연구소 주소가 대전인 경우(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인증에 한함)


전략기술수출통제 품목에 해당하는 기술은 제외

- 전략물자관리시스템(www.yestrade.go.kr) > 판정/허가안내 > 자가 판정

- 기업회원가입 후 온라인자가판정 결과물 제출

HS코드 검색 : 관세법령종합포탈 > 세계HS > 상단 검색란에 검색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1001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검색 : 통계청 통계분류 포털 > 한국표준산업분류 > 검색

http://kssc.kostat.go.kr/

지원기업 선정 : 심사 기준에 의거 선정 

선정 절차

1차평가(요건심사)

2차평가(시장성평가)

3차평가(최종평가)

신청서류 적격여부 판단

(대전테크노파크)

 

현지시장 적합성조사

(KOTRA)

 

평가기준에 준한 심사

(대전테크노파크)

선정 방법

 평가 결과 적합판정을 받은 기업 중에서 2, 3차 점수 합산결과 총점 70점 이상 중 고득점 순으로 선정/ 소수점 둘째자리 이하는 반올림

총점 = (시장성 평가 : 70%) + (제출서류 평가 : 30%) + 가산점

신청방법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필수) 오프라인 서류 접수(방문, 우편)

대전테크노파크 사업정보관리시스템(PIMS) http://pims.djtp.or.kr

온라인 접수증 출력 및 서류 제출 시 첨부

신청서 교부

대전테크노파크 사업정보관리시스템(PIMS) http://pims.djtp.or.kr

대전테크노파크 홈페이지 ( http://www.djtp.or.kr 사업공고 )

제출서류

참가신청서 1(도장날인, HS코드 필수입력)

실적자료 (기업부설연구소 확인서, 벤처기업인증서, 유망중소기업인증서, 수출유망중소기업 인증서, 기타 제품관련 인증서, 기술/발명 수상 입증서류 등) 1

사업자등록증 및 공장등록증 사본 1

법인등기부등본 1(법인의 경우만 제출)

최근 2년 표준 재무제표 1

수출실적 증명원 1(해당 기업에 한하여 제출)

전략기술수출통제 자가 판정 결과 1(자가 판정 후 출력물 제출)

기업 소개자료(카탈로그 등) 1(영문 소개자료가 있는 경우 해당 기업 제출)

가점사항(증빙서류 제출 필수)

- 여성기업, 녹색인증기업, 장애인기업, 고용창출 100대기업, 매출의 탑 수상기업,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 유망중소기업인증(대전시, 중소기업청) 대상기업

- 벤처기업인증/ 이노비즈기업 인증(기술보증기금)

- 수출관련 수상실적 증명서

- 증빙서류 미제출

특허기술유통 기술이전, 이전기술사업화, IP분쟁컨설팅 지원을 통해 사업화 전략 확보 기업

글로벌IP기업(IP스타기업) : 2015~ 2017년 선정기업에 한함.

 3. 유의사항

중복신청 제한 : 대전시 연간 시장개척단 참가 횟수 최대 2회 이내

참가품목과 생산품목이 일치해야 하고, 직원이 아닌 자의 출장 또는 출장자 임의변경은 불가함. 또는 출장자의 사전간담회 참석 필수

KOTRA 시장성 평가 완료 등 파견업체 선정 후 취소 시 향후 1년 간 대전시와 대전테크노 파크 지식재산센터 해와마케팅지원사업 참여 제한 및

    시장성 평가용역 등 진행된 사항에 대 한 소요경비 부담

기술비즈니스상담회 종료 후, 향후 2년간 매분기말 대전시와 대전테크노파 크 지식재산센터에 수출 진행상황(계약사항, 수출사항 등)을 통지

   
수출진행상황 미 제출 시 향후 1년간 대전시와 대전테크노파크 지식재산 센터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참여 제한

문의처

대전테크노파크 지식재산센터

- 담당자 : 한기희 대리 (042-930-4453 / red9ma@djtp.or.kr )

접수처

접수방법 : 방문 및 우편접수

- 우편접수의 경우 마감일 18:00까지 도착분에 한하여 접수 가능

주 소 : (34027)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935

대전테크노파크 지능로봇산업화센터 207 지식재산센터(2)

유망부진지사화 품목

구분

부크레슈티(루마니아)

소피아(불가리아)

호조

예상

품목

건설장비(단 대형 중장비 제외), 건축자재(단 시멘트,타일,유리 등 제외), 중전기기(변압기, 발전기,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관련 기기 및 제품(대규모 프로젝트용은 제외), 생활쓰레기 처리관련 기계 및 기기(분리, 퇴비화처리, 콤팩팅 등), 상하수도처리관련 기계 및 기기(상하수도용 소규모 장비, 풀장용 장비 등), 폐기물 리사이클링 관련 기계 및 기기(소규모 음식물쓰레기 처리장비, PET 재활용 장비 등), IT하드웨어(무선제어 자동화네트워크 장비 등)

농기계 및 농업용 장비(, 트렉저 제외), 의료기기(치과용 기기 및 의료용 소모품 제외), LED, 건강관리용 기기 및 제품(피부 관리용 기기 포함), 강력사(리본, 벨트 등 의류 엑세서리 제조용), 직물, 포장기계(식품 포장 등), 의류제조기계(code 8445~8446의 섬유기계는 제외), 산업기계(목재가공, 산업용 오븐, 용접기계, 로봇 등), 화학제품원료(페인트의약품화장품 원료 등), 유아용 의류, 유아용 장난감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편직물, CCTV 카메라, 아연도강판, 실리콘 수지, 광케이블, 기타 자동차 부품, LED 조명기구와 램프, 타이어, 혈압측정기, 전기식 의료기기, 볼베어링, 내외과 및 수의과용 방사선기기, 초음파 영상진단기, 자동차단기, 안과용 기기, 리튬이온축전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비닐수지, 데이터 송수신기기, 자동차, 가전제품, 핸드폰, 컴퓨터 모니터, 사무용장비(ex)프린터), TV모니터, 음료수(ex)알로에주스)

부진

예상

품목

철강제품, 선박관련 품목(엔진, 네비게이션 등), 가정용 가전, 성인용 기성복(니트류, 직물류), 식품, 사무용품, 사무용 장비(사무실용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신발(완성품), 치과용 장비 및 용품(치과용 충전제, 틀니, 드릴 등 전반)

한국 전통 식품류, 세탁세제, 주방용 목제가구, 문구류, 태양광 모듈, 콘택트렌즈, 가구, 도난경보기, 의약품, 주방용품, 화장품, 스테인리스 식품용기, 선박용 기기

수입

제한

품목

해당사항 없음

동물실험 화장품, 군사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첨단기기 거래 제한, 불법 벌채된 목제품EU국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환경규제 물질수입 규제 품목, 식품류는 수입허가제도 운영

 

첨부

1. 참가 신청서 1.

2. 참가 각서 1.

3. 품목설명서 1.

4. 신용정보제공 및 조회 동의서 1.

5. 한국산업기술분류표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