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29
2022-03-29 ~ 2022-04-21 (접수마감 : 18:00)
214
2022-05-25
□ 지원 제외 대상
1. 사업에 참여하는 자(참여기업, 위탁기관(기업), 대표자 등)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본 사업에 2016년 1월 1일부터 2회 이상 선정되어 참여한 기업(주관기관)
- 기업의 부도, 화의, 법정관리중인 기업
- 금융 불량 거래처로 규제중인 기업
- 국세 및 지방세 체납중인 기업, 휴·폐업중인 기업
- 기타 정상적으로 금융거래가 어려운 경우 등
- 신청기업이 제출서류를 허위로 작성한 경우
- 붙임 1. 공고문의 별첨1에 따른 지원제외 업종을 영위하는 경우(위탁기관(기업) 제외)
- 기타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장이 기술사업화 지원이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
2. 업종이 전통제조업에 속하는 경우
<전통제조업>
산업 분류 |
코드 |
산업 분류 |
코드 |
음식료제조업 |
10-11 |
1차 금속 |
24 |
담배제조업 |
12 |
금속가공제품제조업 (기계 및 가구제외) |
25 |
섬유제품제조업 (의복제외) |
13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 |
27 |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 |
15 |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
29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 |
16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30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20 |
철도장비제조업 |
312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제조업 |
22 |
가구제조업 |
32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23 |
|
|
※ 위 산업분류에 속하더라도 첨단기업? 제품 과제는 지원 가능
※ 대전테크노파크 전통산업첨단화지원사업과 중복신청 불가(업종별 구분 신청)
□ 지원분야 : 기술사업화 단계별 기술지원, 사업화지원
1. (기술지원) 기술보완, 성능 분석 및 테스팅 등 기술컨설팅 수행, 제품 디자인, 시제품 제작
2. (사업화지원) 특허-인증획득 지원, 시험-성능 성적서 발급, 상품기획, 브랜드디자인 (CI-BI 개발 등),홍보 마케팅(홍보동영상, 포장 및 패키지디자인 등), 국내외 전시회 및 상담회 참가 관련 비용(일부 제외)
□ 지원내용
1. 지원금 범위 내에서 프로그램을 선택 가능 (2개 이상 필수)
□ 지원규모 : 기업당 최대 70백만원 한도 지원
□ 기업 부담금 : 총 지원금의 25%(현금 10% 이상)
※ 예시 : 지원금 75% + 기업 부담금 25% (현금 10%, 현물 15%)
※ 기업 부담금 한도 안에서 신규채용에 따른 인건비로 현금계상 가능 (1인당 월 최대 100만원 현금계상)
사업공고(2022년 3~월)
신청 및 접수(공고기간 내)
요건심사(공고기간 내)
현장조사(1차 평가 / 2022년 4월)
서류평가(2차 평가 / 2022년 5월)
발표평가(3차 평가 / 2022년 5월)
기업확정 및 결과 통보(2022년 5월)
□ 주관기업은 다음 해까지 1개 과제만 신청 가능
□ 참여기업은 세부과제의 업종에 해당할 것
□ 사업비 계상 및 조정기준을 참조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 사업에 참여하는 자(주관기업, 참여기업, 대표자 등)는 채무불이행 등 신용조회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함
□ 주관기업은 사업비 지급신청 시 사업비에 대한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을제출해야 함
※ 사업비 상에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 비용 미계상 시 기업 별도 부담
□ 주관기업과 참여기업은 공고일 현재 대전지역에 본사를 보유하고 있어야 함
※ 지역 내 기업에서 사업 진행 불가 시 예외 적용(사업계획 검토위원회 승인)
□ 후발기업지원금(기술료) 징수 : 사업 종료 후 지원금의 10%를 현금으로 징수
※ 현금으로 일시납(30일 이내)할 경우에는 20% 감면
※ 분할납부시 이행(지급)보증보험증권 제출을 원칙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