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1
2020-08-21 ~ 2020-08-27 (접수마감 : 17:00)
335
2022-05-25
? 지원목표 : 사회적경제기업 3개 기업 내외
? 지원내용
1) (공공 연구성과 기술이전)
- 지원개요 : 사회적경제기업 유형의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와 사업화 제품 및 서비스의 권리보호를 위한 대전지역 대학?출연(연) 등의 공공연구기관에 축적된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지원
- 지원내용 : 기술도입(기술이전)* 비용 일부 지원
* 지식재산범위 :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의 출원?등록 권리
- 지원규모 : 기술료에 따라 기업 당 10,000천원 이내 지원(부가세 제외)
2) (기술주치의 파견 지원)
- 지원개요 : 대전시에서 보유한 은퇴과학자들의 멘토 매칭으로 사회적 경제기업들의 연구개발, 마케팅, 생산설계 등 기술사업화 전반의 활동현장에 사업화 주치의 역할 및 유기적 연계 지원
- 지원내용
? 대전 연우회 은퇴과학자들의 파견을 통한 기술 주치의 역할 수행
? 아이디어 고도화 및 제품서비스의 R&D, 생산, 제품서비스의 보급 등의 역량강화에 초점한 멘토링 지원
- 지원규모 : 사업기간내 전문멘토 상주 및 집중 지원, 5,000천원 이내
3) (R&SD 중점형 맞춤형 사업화 전략컨설팅 지원)
- 지원개요 : 지원기업의 제품?서비스 및 기업현황의 기술성?시장성?사업성의 주요 요건 진단 및 분석을 통해 기업 현황에 적합한 현실 가능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중소기업 생존에 기여될 수 있는 전략컨설팅 제공
- 지원내용 : 지원 기업이 보유한 제품?서비스 기술과 공공연구성과 이전을 통한 융합의 Project R&SD의 전략컨설팅 보고서 제공
주요 지원사항 |
기업별 기술성·시장성·사업성 진단 및 분석 보고서 제공 R&SD 로드맵 설계 지원 기술사업화 BM전략 설계 지원 정부지원사업 및 투자유치 전략설계 지원(자금조달전략) |
- 지원방식 :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한 체계적 지원
- 지원규모 : 기업 당 5,000천원 이내
4) (선택형 비즈니스 역량강화 프로그램)
- 지원개요 : 지원기업의 수요에 따라 IP전략수립, 마케팅 개발 요소를 선택형으로 지원하여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지원
- 지원내용 : 마케팅 개발, IP전략수립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세부사업 중 수요기업 선택프로그램 지원
프로그램 분류 |
지원규모 |
지원 내용 |
|
마케팅 개발 지원 |
신규브랜드개발 |
13,000천원 이내 |
BI, CI 개발 지원 및 전용기업 소품 제작 지원 |
리뉴얼 브랜드 |
9,000천원 이내 |
||
포장디자인 개발 |
10,000천원 이내 |
제품 포장 디자인 개발 및 제작 지원 |
|
기술안내서 제작지원 |
8,000천원 이내 |
보유 기술 및 제품에 대한 SMK*제작 인쇄 지원 *기술마케팅을 위한 안내서 |
|
제품 리플렛 제작지원 |
8,000천원 이내 |
기업·제품의 오프라인 마케팅을 위한 리플렛 제작 지원 |
|
3D 프린팅 지원 |
3,000천원 이내 |
시제품 제작을 위한 샘플 제작 |
|
IP전략 지원 |
특허맵 |
10,000천원 이내 |
IP포트폴리오, 특허회피방안, 선행기술조사 지원 등 |
특허출원(국내) |
3,000천원 이내 |
국내특허 1건 출원 지원 |
? 마케팅 개발지원 : 브랜드 제작, 홍보브로셔, 포장디자인, 시제품제작 샘플링, 제작지원의 마케팅 도구개발 지원
? IP전략지원 : IP포트폴리오, 특허출원 등의 지식재산 역량강화지원
- 지원규모 : 기업 당 24,000천원 이내 지원(부가세 제외)
? 기업부담금 기준
- 기술사업화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술이전·R&SD 중점형 맞춤형 사업화 컨설팅·선택형 비즈니스 역량강화의 3개 프로그램 총 신청금액 합산금액을 기준으로 최종년도 매출액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5% 이상, 현금)
매출액 |
10억원 미만 |
30억원 미만 |
50억원 미만 |
100억원 이상 |
기업부담률 |
5% |
10% |
15% |
20% |
※ 기술이전계약시 대전경제통상진흥원의 중개기관참여 必, 단 중개수수료 없음
- 기업부담금은 기술이전(공공연구기관), 전략컨설팅(용역업체), 비즈니스 역량강화프로그램(제작 및 용역업체)에 선정기업이 입금
? 평가방식
- 서류평가 : 사업제안서 및 관련서류를 바탕으로 전문외부평가위원* 예비후보 9명중 3명을 선정하여 평가 진행
* 전문 외부평가위원으로 구성
- 대면평가 : 서류평가에 선정된 창업지원기관의 ppt 발표를 통한 전문외부 평가위원 예비후보 15명중 5명을 선정하여 평가 진행
? 평가기준
- 서류평가 기준
평 가 항 목 |
배 점 |
사업화 전략 적정성 (사업계획의 체계·목표 타당성 등) |
40 |
공공기술도입 적합성 (이전기술 권리보호 수준, 비교우위성) |
40 |
사업화 역량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역량) |
20 |
가산점(컨소시엄 참여) |
10 |
계 |
110 |
- 대면평가 기준
평가항목 |
세부항목 |
계 |
사업화 전략 적정성 |
• 사업화 계획의 체계성 및 사업목표의 타당성 |
40 |
• 사업화 모델의 시장 진입 가능성 |
||
• 사업화 모델의 성장성 및 파급효과에 대한 적정성 |
||
• 제품·서비스 목표 수준 및 적정성 |
||
공공기술 도입 적합성 |
• 이전기술의 비교우위성 및 권리보호 수준 |
40 |
• 이전기술의 사업화 수준 구현가능성 |
||
• 공공기술 도입의 필요성과 경쟁력 |
||
사업화 역량 |
•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 역량 |
20 |
• 이전기술 사업화 추진 적합성 |
||
• 사업화 지원의 타당성 및 필요성 |
||
가점 |
• 컨소시엄 참여 |
10 |
계 |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