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01
2019-07-01 ~ 2019-12-31 (접수마감 : 00:00)
277
2022-05-25
1. 지원규모 : 400억원 / 국내 및 수출납품 [상반기 200억, 하반기 200억]
2. 지원대상 : 본사 또는 사업장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중소기업
3. 지원업종
가. 제조업
(1) 전업률이 100분의 30 이상인 공장등록을 한 기업
* “전업률”이란 승인을 얻고자 하는 업종의 최근 결산연도 매출액이 총매출액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경우 자가소비가 있는 경우
에는 자가소비 생산액을 매출액에 합산할 수 있다.
(2)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소기업
(3)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라 공장설립 인·허가를 받은 중소기업
나. 지식산업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식산업
(1)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582)
(2) 자연과학 연구개발업(7011)
(3) 엔지니어링서비스업(7212)
다. 영상산업 : 「영상진흥기본법」에 따른 영상산업 중 영상물 제작 분야에 한함
라. 「특허법」에 따라 최근 3년 이내 등록된 특허·실용신안권을 사업화하려는 기업
마. 「산업기술혁신 촉진법」에 따른 신제품(NEP) 인증 기업
바. 대전광역시 등록 중소기업협동조합
※ 나, 다, 바 업종은 전업률 100분의 50 이상 적용
4. 융자 범위
가. 중소기업의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또는 공공기관과의 납품계약에 따른 원부자재 및 제품생산 자금지원 사업
나. 중소기업의 해외구매자(해외조달시장을 포함한다)와의 수출 또는 납품 계약에 따른 원부자재 및 제품생산 자금지원 사업
5. 융자조건 및 한도
가. 융자기간 : 2년 (2년 거치 일시상환)
나. 지원규모 : 업체당 5억원 이내(소요자금의 75%)
다. 융자금리 : 분기별 변동금리 / 4분기 적용금리 : 1.21% (2019.10.10. ~ 2020.1.9.대여분)
※ 분기별 공공자금 관리기금 대출금리–시 차감금리 0.93% 적용
라. 추천횟수 : 제한없음(단, 기 융자금 상환 완료한 기업)
6. 지원 제외업체
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불량거래처로 규제중인 업체, 휴·폐업 중인 업체
나.금융기관여신운용규정상의 계열기업군에 속하는 업체
다. 대기업자가 발행주식 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50%이상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
7. 접수 및 구비서류
가. 접수기간 : 상반기 / ’19. 1. 16.~ 자금 소진시까지, 하반기 / '19. 7. 1. ~ 자금 소진시까지
나. 접 수 처 : 대전경제통상진흥원 기업지원포털사이트 대전비즈(www.djba.or.kr/biz)
(☎ 042-380-3081, 3021)
다. 구비서류 : 신청서 1부 및 사업계획서 1부, 정보제공활용동의서 1부.
전년도 재무제표, 사업자등록증 사본, 납품(국내/수출)계약서,
구매견적서(계약서), 매출계약 및 구매내역 명세서
※ 연중 수시 신청서를 접수받아 선정 통보함
8. 참고사항
가. 자금지원 결정업체에 대해서는 주거래 은행을 통하여 융자하는 것으로 취급 은행에서 여신관리 규정에 따라 융자금 연체사실, 국세 및
지방세 체납사실 여부와 채권보전을 요구할 수 있음(부동산 또는 보증서 담보제공 등)
나. 대출 취급기한은 지원결정 일부터 3개월 이내(단, 특별한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1개월 연장가능)
다. 구매조건 생산지원자금은 신청업체가 많을 경우 조기에 소진될 수 있음.
라. 2019년 1월 이후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또는 공공기관과의 납품계약 및 해외구매자(해외조달시장을 포함한다)와의 수출 또는 납품 계약을 체결한 기업
마. 기타사항
- 기타 세부사항에 관한 사항은 대전광역시 중소기업육성기금조례 및 시행규칙에 의함.
- 신청 전에 거래은행과 신청금액 대출가능 여부 사전 협의하면 편리 합니다.
바. 상담 및 문의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시 홈페이지 (http://www.daejeon.go.kr) 또는 대전광역시 기업창업지원과 (☎ 042-270-3692), 대전경제통상진흥원 기업지원포털사이트 대전비즈(www.djba.or.kr/biz) ☎ 042-380-3081, 3021, 3000, FAX 042-380-3091)으로 문의
※ 시 홈페이지 검색 경로
① 시정소식(홈페이지 중간부분 좌측) → 구매조건 생산지원 자금 지원계획 공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