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04
2016-03-04 ~ 2016-03-31 (접수마감 : 00:00)
310
2022-05-25
1. 사업개요
|
|
2. 신청자격 및 신청절차
|
|
구 분
|
세부 기준
|
① 매출액
|
매출액 100억원(시스템 SW 개발공급업 등은 25억원) 이상 ~ 1,0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15년 기준)
1) 표준산업분류상의 시스템 SW개발공급업(산업분류 58221), 응용 SW개발공급업(산업분류 5822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관리업(산업분류 620), 온라인·모바일게임 SW개발 및 공급업(산업분류 58211)
|
② 기업분류
|
전국단위 소재 중소기업
1) 중소기업은「중소기업기본법」제2조의 규정에 의한 기업
|
③ 글로벌 지향성
|
직전년도 매출액 대비 직간접 수출비중 10% 이상
|
④ 기술혁신 역량 등
|
3년 평균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 1% 이상 또는 5년 평균 매출액 증가율(CAGR) 8% 이상
|
⑤ 제외대상
|
1) 월드클래스300 기업, 글로벌 전문 후보기업 선정기업
2) 휴·폐업 또는 금융기관으로부터 불량거래처로 규제중인 기업, 채무불이행이 확인된 기업
* 단, 회생인가 받은 기업, 중진공에서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등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 재기지원 필요성을 인정받은 기업(인)은 참여 가능
3) 기업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있는 경우
4) 중소기업지원사업 참여제한 기업 등
|
구 분
|
인턴 채용인원
|
|||
1~4명
|
5~9명
|
10명 이상
|
||
인턴 채용비율
(인턴 채용인원 /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
5% 미만
|
1
|
2
|
3
|
5~10% 미만
|
2
|
2
|
3
|
|
10% 이상
|
3
|
3
|
3
|
◇ 기업은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www.exportcenter.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 후 (재)대전경제통상진흥원에 오프라인 접수
|
제출서류
|
|
1
|
기업신청서 10부(원본 1부, 사본 9부)
|
2
|
법인등기부등본
|
3
|
사업자등록증(사본)
|
4
|
‘11~‘15년 재무제표 또는 감사보고서
|
5
|
연구개발비 투자 확인서
|
6
|
‘15년 직수출실적 증명서(무역협회 발급)
|
7
|
로컬 등 기타 수출실적 증명서
|
8
|
외투기업 경영자 확인서
|
3. 지원내용 및 지원규모
|
|
구 분
|
내 용
|
지원 방법
|
|
국비
|
R&D
|
우수 R&D과제에 대한 R&D자금 지원
|
국비 2년간 최대 6억원(연간 3억내)
* 총사업비 65%이내 국비 지원
|
해외 마케팅
|
글로벌 성장전략 수립 컨설팅
목표시장 맞춤형 글로벌 마케팅 및 수출 세부프로그램 지원
|
3년간 최대 2억원(연간 1억원내)
* 기업당 총사업비 50∼70%이내 지원
|
|
지방비
|
지역 자율 지원
프로그램
|
해외마케팅 지원, 해외진출준비, IP지원 등 다양한 기업수요 맞춤형 지원
|
지역 자율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차별화된 기업지원
|
구분
|
프로그램명
|
지원한도
|
운영기관
|
1
|
글로벌 브랜드 개발
|
총사업비의 50% 이내, 국비 50백만원 한도
|
지원기관
POOL 운영
|
2
|
기업홍보 및 홈쇼핑 동영상 제작
|
총사업비의 50% 이내, 국비 50백만원 한도
|
|
3
|
글로벌 성장전략 수립
|
총사업비의 65% 이내, 국비 50백만원 한도
|
|
4
|
해외전시회 참가
|
총사업비의 50% 이내, 국비 20백만원 한도
|
기업 자체
|
5
|
新마케팅 프로모션 제도
|
총사업비의 60% 이내, 국비 50백만원 한도
|
|
6
|
해외세일즈랩
|
총사업비의 70% 이내, 국비 60백만원 한도
|
KOTRA
|
7
|
수출 IP전략수립
|
총사업비의 70% 이내, 국비 50백만원 한도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
구 분
|
내 용
|
지원기관
|
금 융
|
○ 수출강소기업 프로그램
-(금융) 저리자금 지원 및 여신한도 우대
-(비금융) 맞춤 환위험 관리, 수출입 지원, 부동산 자문서비스
|
기업은행
|
○ GPS(Globalization of Potential Starters) 협약보증
-금융지원 시 신?기보 보증료 지원, 금리인하 지원
|
신한은행
|
|
-무역보험공사 수출신용보증 보증료 지원서비스 및 금융컨설팅 서비스 제공
|
KEB하나은행
|
|
-보험요율 우대, 보증한도 확대, 신용관리서비스 무상제공
|
SGI서울보증
|
|
○ 단기수출보험(중소중견Plus+) 단체보험
-책임금액(U$5만)이내에서 수출기업 앞 보험금 지급
|
무역보험공사
|
|
○ 단기수출보험(중소중견Plus+)
-수출거래에 따른 대금미회수 손실을 위험별 책임금액 내에서 보상
|
무역보험공사
|
|
○ 환변동보험
-환차손익을 제거, 사전에 수출금액을 원화로 확정시킴으로써 환율변동의 불확실성 위험 커버
|
무역보험공사
|
|
경 영
|
○ 해외수입자 신용조사
-해외소재 기업의 기본정보, 재무정보 등의 신용조사를 실시한 후 보고서 제공(유료)
|
무역보험공사
|
컨설팅
|
○ 기업컨설팅
-경영, 가업승계, 세무, 법률, 그린컨설팅 제공
|
기업은행
|
디자인
|
○ 미래시장창출 기업혁신 디자인사업
-미래상품 디자인 전략 개발 및 선행디자인 개발 지원
|
한국디자인진흥원
|
4. 기타 참고사항 : 글로벌강소기업 성장위원회 및 기업선정방식
|
|
글로벌강소기업
성장위원회 구성
|
→
|
지역별 사업공고
|
→
|
기업 선정계획 수립
|
→
|
기업 신청
|
지자체, 지방청, 지역혁신기관
|
(지자체) 지역별 기업선정을 위한 자체 공고 실시
|
사업추진 및 선정계획 수립 후 운영위원회1) 심의?의결
|
1.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 홈페이지 가입 후, 글로벌강소기업 온라인 사업신청
2. 사업신청서 지자체(지역혁신기관) 오프라인 제출
|
|||
|
|
|
|
|
|
|
기업 선정 및 운영위원회 의결
|
|
글로벌역량진단 평가
|
←
|
|||
(수출지원센터) 요건심사 및 글로벌 역량진단 현장 평가 후, 결과 지역혁신기관 송부
|
||||||
운영위원회 통해 기업 선정 최종 심의 의결
|
||||||
|
↓
|
|
||||
←
|
기업 선정평가
|
←
|
||||
(지역혁신기관) 성장위원회2)를 통한 성장전략 평가 및 선정
|
1. 수출 인프라
|
3. 수출마케팅 실행 역량
|
|
1.1 환산수출실적
|
3.1 해외마케팅 인력 및 조직
|
|
1.2 환산수출실적 비율
|
3.2 해외마케팅 인력 핵심역량 관리
|
|
1.3 환산수출실적 성장률
|
3.3 해외거점 보유
|
|
1.4 가격 경쟁력
|
3.4 해외마케팅 기본도구
|
|
1.5 품질 및 디자인 경쟁력
|
3.5 온라인 마케팅 활용수준
|
|
1.6 해외규격 건수
|
3.6 오프라인 마케팅 활용수준
|
|
1.7 (산업)지식재산권 보유
|
|
|
2. 시장이해 역량
|
4. 지속성장 역량
|
|
2.1 해외시장 조사수준
|
4.1 기업 혁신의지
|
|
2.2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보유 수준
|
4.2 연구개발(R&D) 투자수준
|
|
2.3 경영진의 수출의지
|
4.3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
|
2.4 해외마케팅 전략수준
|
4.4 리스크관리 역량
|
|
2.5 고객정보 관리수준
|
4.5 해외AS 및 클레임 대응수준
|
1. 지식서비스 역량
|
3. 수출마케팅 실행 역량
|
1.1 서비스 성장단계
|
3.1 핵심 인력 관리
|
1.2 경영자의 관련업종 경험여부
|
3.2 (해외)마케팅 관리
|
1.3 수출 비전 및 전략
|
3.3 서비스의 해외 진출 단계
|
1.4 수출 실현 및 확대 투자노력
|
3.4 온라인마케팅 활용수준
|
1.5 서비스 기술의 우수성
|
3.5 오프라인마케팅 활용수준
|
1.6 브랜드 형성수준
|
|
2. 시장이해 역량
|
4. 지속성장 역량
|
2.1 해외시장 기초정보
|
4.1 기업 혁신의지
|
2.2 해외고객 및 시장 정보
|
4.2 연구개발(R&D) 투자수준
|
2.3 해외 경쟁서비스(기술) 정보
|
4.3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
|
4.4 해외매출 발생 여부
|
|
4.5 리스크관리 역량
|
|
4.6 해외 A/S 및 클레임 대응수준
|
1. 기업 일반역량 분야
|
3. R&D 혁신역량 분야
|
|
1) 매출성장에 대한 의지 및 노력
|
1) 연구인력의 적정성
|
|
2) 글로벌 기술확보 전략
|
2) 기업 R&D 투자 의지
|
|
3)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
|
3) 인프라 구축의 우수성
|
|
4) CEO 리더쉽
|
|
|
5) 고용창출 효과
|
|
|
2. 성장전략 분야
|
4. 보유 기술 수준
|
|
1) 목표의 우수성
|
1) 보유기술의 우수성
|
|
2) 전략의 적절성
|
2) 보유기술의 시장성
|
|
3) 글로벌화 전략의 우수성
|
|
|
5. 지역자율
|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지표 설정(ex. 지역산업 및 경제적기여도 등)
|
1. 지역 의지와 지원역량
|
1) 지역의 사업 추진 노력과 의지(지방비 출자금 등)
|
2) 글로벌강소기업 성장위원회 구성의 적정성
|
3) 지역 보유 혁신자원 활용계획의 적정성
|
2. 지원계획의 적정성과 충실성
|
1) 사업계획의 구체성과 실현가능성
|
2) 지역 자율프로그램의 계획성 및 충실성
|
3. 평가관리의 적정성
|
1) 글로벌강소기업 발굴(선정) 체계의 적정성
|
2) 성과점검체계의 적절성
|
4. 기업역량
|
1) 추천기업의 역량 수준(글로벌 성장에 대한 의지), 기술확보, 시장확대 등
|
2) 기업의 혁신성 및 미래성장성
|
5. 지역자율프로그램
|
1) 지역이 보유한 산업군, 지역의 대내외 환경 등
|
등급
|
지역별 할당기업 수
|
지역수
|
총 선정기업수
|
가
|
8개사 내외
|
3개지역 내외
|
24개사 내외
|
나
|
5개사 내외
|
8개지역 내외
|
40개사 내외
|
다
|
3개사 내외
|
3개지역 내외
|
9개사 내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