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고내용
2024년도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 기술수요조사 안내
산업기술혁신사업 국제기술협력 평가관리지침 제13조(지원과제의 발굴 및 절차)에 따라 2024년도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에 대한 기술수요조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본 수요조사는 관련 산.학.연 에너지기술 연구자, 개발자, 실시기업, 유관 공공기관 등 에너지국제공동연구에 관심 있는 모든 주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제안하신 의견은 향후 내부 검토를 거쳐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의 신규과제 발굴 및 향후 중장기 협력전략 수립에 반영될 예정이오니 귀하의 소중한 의견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본 수요조사에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수요조사 개요
목적
2024년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 신규과제 추진과 중.장기 협력전략 수립을 위한 기술수요 조사 실시
협력대상국 및 기술분야
(협력대상) 정부 간 협력 기반국, 기술선도국, 해외시장 진출 대상국 및 다자협력체(IEA, 미션이노베이션) 참여국
(기술 분야) 산업기술분류표 상의 에너지.자원에 포함되어 있는 중분류 및 소분류에 해당되는 기술
사업기간 및 예산규모
(사업기간) 3년 내외
(예산규모) 과제당 15억 ~ 60억 규모
사업구분
① 에너지기술선도
에너지기술 분야의 선도기술 조기획득, 초격차 확보 및 선도국과 상보협력을 통한 애로기술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추진
초일류 연구기관과의 기술 개발, 선도기술 도입, 대규모 실증형 프로젝트는 우선 검토 가능
수요조사 대상국가는 아래표에 명시된 정부간 협력기반 확보국 및 이외 기술 선도국을 포함
사업구분 - 정부간 협력국, 우선협력 기술분야
정부간 협력국 |
우선협력 기술분야 |
미국 |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원자력 |
영국 |
재생에너지, 수소,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원자력 |
호주 |
수소 |
스페인 |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
노르웨이 |
재생에너지, 수소,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
독일 |
수소, 재생에너지, 효율향상, 스마트그리드, 섹터커플링, 전기차, 연료전지 |
② 글로벌시장진출
국내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맞춤형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추진
사업 후 ODA연계, 세계은행 등 국제개발은행 및 GCF 등 연계가능 사업, 국내 기 개발기술의 해외시장 실증과제 우선 검토 가능
수요조사 대상국가는 아래표에 명시된 정부간 협력기반 확보국 및 이외 기술 수출 대상국을 포함
사업구분 - 정부간 협력국, 우선협력 기술분야
정부간 협력국 |
우선협력 기술분야 |
체코 |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원자력 |
폴란드 |
재생에너지, 수소,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원자력 |
태국 |
확인 중 |
중국 |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효율향상, 에너지수요관리, ES |
싱가포르 |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ESS, 효율향상 |
③ 다자협력기반 공동연구
미션이노베이션 2.0, 국제에너지기구 기술협력프로그램(IEA TCP) 내 협력대상기술을 대상으로 해당 회원국과의 국제공동연구 추진
다자협력체, 기술 분야, 목적
다자협력체 |
기술 분야 |
목적 |
IEA TCP |
건물, 에너지저장, 히트펌프, 수요관리, 고온도초전도, 첨단연료전지 첨단자동차연료, 수송용 신소재,
청정연소,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석유회수증진, 유동층전환, 온실가스, 기술시스템 분석 |
에너지기술선도 |
미션이노베이션(MI) |
청정수소, 녹색미래전력, 넷제로산업 |
에너지기술선도, 글로벌시장진출 |
※ IEA 및 MI 개요는 세계에너지시장플랫폼(https://energy.ketep.re.kr/globalenergy) → 에너지네트워크 →국제기구협력 경로를 통해 확인 가능
2. 조사항목
협력 기술 분야, 협력 대상국, 제안기술의 개발 규모, 목표 및 내용, 국제공동연구 필요성,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협력예정 해외기관, 기관별 역할, 기대효과, 과제수행의 위험도 등
3. 수요조사 제안자격
에너지기술 연구자, 개발자, 실시기업, 유관 공공기관, 산.학.연 전문가 등 에너지국제공동연구에 관심 있는 모든 주체
4. 접수기간 및 방법
접수기간 : 2023.9.26.(화)~2023.11.3(금)
* [첨부2] 기술수요조사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기본 정보 입력과 함께 수요조사서 파일(hwp)을 업로드
5. 수요조사서 작성.제출시 유의사항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 R&D사업 기술개발과제로 기지원된 기술수요는 제외함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www.ntis.go.kr)에서 제안하시는 기술의 중복성 사전 검토 후, 중복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록
사업관리시스템(GENIE) 이외의 별도양식으로 기술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기초자료 활용대상에서 제외됨
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으며, 제출된 수요조사서는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 및 과제기획 등 동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됨
제안 사항의 검토.활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출된 내용을 관련 전문가 및 협력국가 등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제3자와 공유할 수 있음
향후 필요 시 제출된 기술수요조사서의 영문본을 추가 요청할 수 있음
제안 수요를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안자가 권리 등을 주장할 수 없음
금번 수요조사는 2024년도 신규지원 후보과제 발굴 및 국가별 중장기 협력전략 수립을 위한 의견수렴으로 과제발굴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절차는 없으며, 기획반영결과는 회신하지 않음
6. 문의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국제협력실 : 02-3469-8431~8439
전산등록(GENIE 운영팀) : 02-3469-8813~4
[첨부파일]
최종 수정일 :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