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세부 콘텐츠 상세

목록
세부 콘텐츠
[DTalkS - 24.12. Vol.16] (D-SPECIAL) [인터뷰] "美 실리콘밸리보다 대전 퀀텀밸리"···양자패권 승리 선언한 '과학수도 대전'
  • 등록자

    관리자

  • 등록일

    2024-12-17

  • 조회수

    1606

[인터뷰]대전광역시 양자센서산업팀

전국 최초 양자 전담팀 신설

선제적 양자산업 육성 기반 구축

KAIST 양자대학원 등 인재양성 박차

 

'양자(Quantum)'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느껴졌던 것도 불과 2~3년 전의 일이다. 이제 양자산업은 대한민국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대전은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발 빠르게 양자산업 육성에 뛰어들었다. 정부의 양자기술 전략 발표 이전부터 선제적으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전담팀을 신설하는 등 양자산업 선도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해왔다.

 

정부가 양자기술을 AI반도체, 첨단바이오와 함께 '3대 게임체인저'로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대전시는 어떤 전략으로 양자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을지 대전시 양자센서산업팀을 만나 양자산업 육성 전략과 미래 비전을 살펴봤다.

 

◇ 양자산업 선도를 위한 발빠른 행보

 

대전시는 민선8기 들어 ABCD(우주항공·바이오헬스·나노반도체·국방)+QR(퀀텀·로봇) 6대 전략산업을 선정하고, 양자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전국 지자체 최초로 양자 관련 전담팀을 신설하고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선제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최성욱 양자센서산업팀장은 “다수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대전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와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았으며, 연구 성과와 인적 자원을 지역 산업에 충분히 접목하지 못했다”며 “민선8기 들어 시와 출연연 간의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대덕특구의 연구 성과를 활용해 전략산업을 육성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양자국가기술전략센터로 지정되는 등 양자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 것을 계기로, 시는 출연연들과 '대덕퀀텀밸리'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다져왔다"고 덧붙였다.

 

대전시 양자산업의 기반을 강조하고 있는 최성욱 양자센서산업팀장.

 

대전이 양자산업 육성에서 가장 큰 강점으로 내세우는 것은 풍부한 전문인력과 연구기관이다. 현재 국내 양자 연구 인력은 약 400명 수준으로 추산되는데, 이 중 절반가량이 대전에 있다. 특히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를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등 주요 양자기술 연구기관 대부분이 대전에 위치해 있다.

 

또 지난해에는 KAIST 양자대학원이 설립되어 2031년까지 박사급 인재 180명 배출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으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에도 양자 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양자정보 전공이 신설됐다. 충남대를 비롯한 15개 대학에서도 양자 관련 학과를 보유하고 있어 지속적인 인재 양성이 가능한 구조다.

 

기업 생태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국내 첫 양자컴퓨팅 스타트업인 큐노바를 비롯해 브라이트퀀텀, 에프아이시스(FISYS) 등 13개의 양자 기업이 대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 소재 기업들의 이전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양자기술 수준은 선도국 대비 62.5% 수준으로 평가된다. 후발주자로서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대전시는 글로벌 협력에 특히 공을 들이고 있다. 최근에는 캐나다 워털루, 미국 워싱턴 등 양자기술 선도도시을 방문해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최 팀장은 "양자기술은 미중 기술패권의 중심에 있어 안보와도 직결되는 문제"라며 "기술 통제와 블록화 경향으로 해외 진출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선도국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교두보를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자기술은 딥테크 분야인 만큼 상당한 시간과 투자위험이 따른다. 이는 민간 영역에서 전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에 최 팀장은 "대전시는 대전투자금융를 통한 양자 관련 투자계정 조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초기 자금 확보와 기술 상용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양자클러스터 유치 '총력전'

 

지난해 11월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양자기술산업법)'이 본격 시행됐다. 이 법에는 양자전략위원회 설치, 양자과학기술연구센터 지정, 범부처 종합계획 수립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겼는데, 대전시가 주목하는 것은 '양자클러스터 지정' 조항이다.

 

대전시는 양자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차별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방문한 캐나다 워털루의 퀀텀밸리처럼 반경 5km 안에 양자 관련 주요 시설이 집적된 형태의 클러스터 조성을 구상하고 있다.

 

대덕양자클러스터 구상도.[사진=대전시]

 

 

최 팀장은 "양자산업은 자원의 집중이 필요한 분야"라며 "대전은 양자 관련 인력과 축적된 역량, 출연연·대학 중심의 유기적 협력체계,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계성 등에서 강점이 있어 양자클러스터 지정 시 국가적 차원에서도 실효성이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시의 양자산업 육성 노력은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 양자컴퓨팅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 등 주요 국가 공모사업을 잇달아 유치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양자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지만, 수요를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아직 연구개발 단계인 양자기술의 특성상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며, 시장은 초기 단계여서 국내 수요처가 제한적이고 해외 진출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는 양자기술 선도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공급망 확보와 해외시장 진입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최 팀장은 “양자컴퓨팅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에 참여하는 대전 외 지역 기업들에게 사업 종료 시기까지 대전 연구소 또는 지사 설립 등을 조건으로 제시하여 자연스러운 기업 생태계 확장을 유도하고 있다.” 고 말했다. 

 

이어 양자산업을 통해 과학기술 수도로서의 위상을 한 단계 더 높이겠다고도 강조했다. 특히 정부의 양자클러스터 지정을 앞두고 서울과 함께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히고 있어, 성공적인 클러스터 유치가 향후 양자산업 발전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최 팀장은 "대전은 이미 과학기술 허브로서 국제적인 위상을 자랑하지만, 양자산업이라는 최첨단 분야를 통해 한층 더 도약할 것이다." 피력했다.

대전시 양자센서산업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