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최종 연구 목표: 광유전학(optogenetics) 기법을 이용하여, 사회적 상호 작용(social interaction)을 위한, 1) 뇌 해마 부위 제2형 해마 세타파(type-2 hippocampal theta rhythm)의 인과 관계(causality) 및 역할(roles)를 확인하고, 2) 해마(hippocampus)-전전두엽(medial ... |
| 연구내용 |
1. '제2형 해마 세타파 기능이 억제된 생쥐 제작' 및 상기 모델 생쥐의 '사회적 상호 작용 감소' 검증 - 광유전학 기법으로, 생쥐 뇌 내측 중격(medial septum)부위→해마(hippocampus) 회로 내의 가바성 (GABAergic) 신경 세포 기능을 억제하여, 4-8 Hz 제2형 해마 세타파 기능만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킨 생쥐 모델 제작 ... |
| 기대효과 |
가.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제2형 해마 세타파의 인과 관계(causality) 및 기능이 처음으로 제시됨나. 사회적 상호 작용에 관련된, 4-8 Hz 전전두엽 뇌파의 근원(origin) 및 기능을 처음으로 정의.다. 4-8 Hz 전전두엽 뇌파를, 자폐 환자 진단 시,사회적 상호 작용 기능에 대한 표지 인자(indicator)로 활용 가능.라. 자폐 환... |
| 키워드 |
사회적 상호 작용,제2형 해마 세타파,중측 전전두엽,뇌파 동기화,자폐,광유전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