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79
2024-05-21
내역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
과제명 | RPC5 Exosome을 이용한 세포 사멸과 방사선 저항성에 관한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20443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6-01 ~ 2023-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6-01 ~ 2021-02-28 |
연구목표 | 최근 발생 및 신경학에서부터 약물 전달학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플레이어로서 대두되고 있는 exosome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나노미터 크기의 지질 소포로서, 일부 mRNA, Micro RNA, 그리고 단백질 수용체/리간드를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며, 그 결과 정상 세포 간 신호 전달이라는 생리학적 역할 뿐 아니라 종양 미세 환경 조절이나 암세포 전이에도 관여하고... | ||
---|---|---|---|
연구내용 | RNA polymerase 3 subunit의 하나로 알려진 RPC5는 정상 발생 단계에 있어서 세포 사멸과 성장에 관련된 단백질로서 다른 RNA polymerase 3 subunit인 RPC4, Rpb3, Rpb5와는 다르게 exosome 형태로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이러한 RPC5 exosome 분비는 방사선 노출과 같은 damage을 받았을 때 증가... | ||
기대효과 | 방사선 저항성은 현재 암 환자 치료의 1/2 이상 담당하는 강력하고 일반적인 방사선 치료 방법의 걸림돌로서 많은 환자들이 방사선 저항에 의한 암 재발을 경험한다. 따라서 방사선 저항성과 관련된 세포 사멸의 기본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방사선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약리학적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세포 사멸과 같은 기초 ... | ||
키워드 | 세포 사멸,exosome ,방사선 저항성,RPC5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 세포분화/사멸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7,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