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효율적인 다중감각통합이 일어나기 위해서 후두정피질을 중심으로, 해당 영역과 다른 영역간의 시냅스 연결 패턴 및 그 기능을 밝히고, 더 나아가 자폐증과 같은 다중감각통합과정상에 문제를 보이는 질병동물모델에서 이를 적용하여 그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에 최종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상생쥐와 자폐증모델생쥐에서의 해부학적, 행동학적, 생리학적 차이... |
| 연구내용 |
우선, 해부학적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정상 생쥐와 자폐증 모델 생쥐에서의 의 후두정피질을 중심으로 한 감각처리네트워크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시각, 청각자극 구별 태스크를 이용하여 자폐증 모델 생쥐의 단일감각처리능력, 다중감각처리능력을 모두 확인해봄으로써 어떠한 행동학적 결함이 나타나는지 분석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사회적 행동과 같은 다중... |
| 기대효과 |
다중감각자극을 효율적으로 처리 및 통합하는 과정에 대한 회로망과 그 기능적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자폐증 환자와 같이 단일감각자극에 대한 인지속도는 빠르나, 다중감각정보를 인지하거나 학습하는데 문제를 보이는 경우에서 어떠한 회로망의 결함으로 인해 이러한 행동학적 문제가 생기는지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사회적 행동과 같은 다중감각자극이 ... |
| 키워드 |
다중감각통합,후두정피질,자폐증모델생쥐,다중감각통합 신경망,회로망 조절,감각처리장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