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85
2024-05-21
내역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
과제명 | 미토콘드리아 내막단백질 Higd-1a 결핍으로 유발되는 신경퇴화 기전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20735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6-01 ~ 2023-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6-01 ~ 2021-02-28 |
연구목표 | Higd-1a (hypoxia inducible domain family member 1A)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단백질이며, 미토콘드리아의 fusion에 관여하는 OPA1, beta-amyloid를 생성하는 gamma-secretase, 전자전달계 complex IV 등과 결합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항상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확실한 기전은 더 많은 ... | ||
---|---|---|---|
연구내용 | 신경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는 신경가소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인은 선행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보고하였다. (1) Higd-1a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단백질이며, Higd-1a의 결핍은 미토콘드리아의 fusion과 크리스테 형성을 방해한다. (PNAS, 2013). (2) Higd-1a는 뇌, 심장 등에 발현이 집... | ||
기대효과 | 본 실험으로, 미토콘드리아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Higd-1a의 기능을 in vivo 에서 확실히 규명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형태의 조절 장애에 의하여 신경세포의 분화, 성숙이 억제될 수 있는 기작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시냅스의 양과 형태의 변형은 알츠하이머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전형적인 초기 특징으로 알려져 있으므... | ||
키워드 |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Higd-1a ,퇴행성신경질환 ,신호전달 ,knock-out 마이스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발생/신경생물학 > 신경질환생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7,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