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는 Kollár 가설이 가중 동차 곡면 특이점에서 성립함을 증명하는 것이 목표이다. Kollár 가설이란 유리 곡면 특이점의 변형 공간의 기약 성분이 P-해소라는 특이점의 부분 특이점 해소와 일대일 대응될 것이라는 추측이다. 즉, Kollár 가설은 유리 곡면 특이점의 모든 변형을 특정한 부분 해소를 이용하여 분류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
| 연구내용 |
(1) 극대 특이점 해소를 통한 P-해소의 개수 파악 극대 특이점 해소(maximal resolution)를 정의한다. 상 곡면 특이점의 경우 변형 공간의 기약 성분과 P-해소와의 대응을 증명하기 위해 극대 특이점 해소를 정의한다. 극대 특이점 해소가 모든 P-해소를 지배(dominate)하기 때문에 P-해소의 개수에 상한이 정해진다. 가중 동차 곡면... |
| 기대효과 |
1.모듈라이 공간의 옹골화 문제 대수기하의 근본적 대수적 다양체를 분류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별한 분류 방법이 모듈라이 이론이다. 특정한 대수 다양체를 모아둔 집합은 새로운 대수 다양체가 되며, 이 대수 다양체를 연구하는 것은 대수 다양체의 분류 문제로 연결된다. 하지만 모듈라이 공간은 일반적으로 옹골하지 않다. 따라서 모듈라이 공간의 옹골화가 중요한 ... |
| 키워드 |
극소 모델 프로그램,가중 동차 곡면 특이점,샌드위치 특이점,밀너 파이버,변형,사교 채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