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학위 과정동안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난치성 뇌질환의 원인과 병인기전 규명에 머무르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실제 적용 가능한 진단 및 치료법을 제시하는 중개 의과학 연구를 하는 것이다. 여러 질환 중에서도 특히 뇌신경질환의 경우 그 원인 및 병인기전 연구가 활발하나 실제 환자에게 적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뇌질환 환자 ... | 
                            
                                | 연구내용 | 신경절 교세포종은 소아 뇌 종양으로 난치성 뇌전증 동반 소아 뇌종양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약물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이 동반되는 신경절 교세포종의 유일한 치료 방법은 수술적 제거 인데, 수술 후 후유증이 크고 수술하기 어려운 위치에 종양이 생길 경우에 약물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다. 본인이 소속된 연구실에서는 최근 환자의 뇌조직 유전체 분... | 
                            
                                | 기대효과 | 이 신경절 교세포종의 ASO 치료제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 번째로 신경절 교세포종을 비롯한 난치성 희귀병의 실험실 수준에서 맞춤형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어떤 질병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천문학적 수준의 돈과 시간이 드는데 비해 성공률도 높지 않아 좌초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ASO 치료제 개발은 질병의 원인 유전... | 
                            
                                | 키워드 |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소아 난치성 뇌전증을 동반한 뇌종양 치료법 개발,신경절 교세포종 실험동물모델에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