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6
2024-05-21
내역사업 |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 |
---|
과제명 | 고속 충·방전 구현을 위한 차세대 전고상 유연 박막 전지 시스템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345322834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6-01 ~ 2022-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6-01 ~ 2021-05-31 |
연구목표 | ❍ 고전압 양극재료 소재 개발 및 박막 공정 최적화를 통한 고에너지 밀도 구현이 가능한 이차전지 개발 ❍ 높은 이온전도성을 나타내는 고체 전해질 도입을 통한 고속 충·방전이 가능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 개발 ❍ 리튬이외에도 다양한 음극 소재를 이용하여 Air 분위기에서도 작동 가능한 이차전지 개발 ❍ 유연 고체전해질 개발 및 유연 기판에 적용 가능한 ... | ||
---|---|---|---|
연구내용 | ❍ 첫 번째로 전고상 이차전지의 전극 및 전해질을 박막화하여 제조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후 유연 기판에 적용. - 박막화된 이차전지의 경우 쉽게 집적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차전지의 무게, 부피에 대한 제약을 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유연 기판에 적용을 통하여 고성능의 웨어러블, 스크레쳐블 이차전지를 개발 할 수 있을 것으... | ||
기대효과 | ❍ 원통형 및 사각형 모양으로 형태가 정해져 있는 기존의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전고상 이차전지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특화된 디자인의 소량 다품종 전지설계 및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웨어러블, 스크레쳐블 및 IoT용 디바이스에 적합한 이차전지 시장 선점 가능. ❍ 전극의 대면적화 및 박막화에 의해 고출력 및 대용량 전지기술 구현으로 향후 전기자동차 및 전력 저... | ||
키워드 | 이차전지,플렉서블,전고상,복합 고체전해질,제 1원리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에너지/자원 > 스마트그리드 > IT기반 고부가 서비스 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에너지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