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207
2024-05-21
내역사업 |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
과제명 | 지각과 맨틀의 3차원 응력/밀도/속도 분포 결정 | ||||
---|---|---|---|---|---|
과제고유번호 | 1365003242 | ||||
부처명 | 기상청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1-01 ~ 2021-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1-01 ~ 2020-12-31 |
연구목표 | 지진파 속도구조 통합 모델과 나아가 단층 모델의 통합을 통해 한반도의 지진동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각과 맨틀에서의 지진파 속도분포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지각 내 응력장은 단층 모델과 함께 해석하는 경우 한반도 발생 지진의 핵심적인 지시자가 된다. 따라서 본 세부과제에서는 한반도 속도구조 통합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3차원 지진파속도... | ||
---|---|---|---|
연구내용 | 통합 3차원 속도 구조 모델은 천부 모델, 지각 모델, 모호면 모델, 상부맨틀 모델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세부과제에서는 지각과 상부맨틀 부분에서의 지진파 속도/밀도/응력 분포를 결정하는데 중점을 둔다. 통합과제 1차년도(2019)에 참여연구로 수행된 기초 모델들을 기반으로 하여, 본 세부과제 2-3차년도(2020-2021)에 이를 고도화, 최종 분포를 ... | ||
기대효과 | 3차원 통합 속도구조 모델 구성에 있어 핵심적인 지각과 상부맨틀의 속도/밀도/응력 분포를 본 과제를 통해 도출하게 되어, 진원 결정, 진도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 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최종 통합모델의 정확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보다 정확한 한반도 지진 위험도 예측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국내외 관련 연구... | ||
키워드 | 속도 분포, 응력 분포, 밀도 분포, 지각 구조, 맨틀 구조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지구과학 > 지구물리학 > 지진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구개발 및 탐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2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