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5
2024-05-21
내역사업 | 소재부품기술기반혁신 |
---|
과제명 | 반도체 웨이퍼 이송장비용 2D 라이다 센서 성능개선 및 양산기술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415171826 | ||||
부처명 | 산업통상자원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11-01 ~ 2021-09-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11-01 ~ 2021-09-30 |
연구목표 | ㅇ 수요기업이 필요로 하는 특화기능 구현 - 대차 선별 감지기능 구현 및 검증 → 반도체 이송장비에 사용되는 2D Lidar 센서는 OHT 대차와 주변 환경을 구분하여 선별 감지하는 기능구현이 필요 → 반사율 차이에 따른 사물의 선별 감지기능 구현이 가능 - 관심영역 설정 및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 반도체... | ||
---|---|---|---|
연구내용 | ㅇ 주관기관인 한국기계연구원은 기계설계/해석, 신호처리 및 자동화 시스템 개발 관련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과제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공급기업(에스오에스랩)과 수요기업(세메스)에서 요구하는 기술대응과 양산성능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 특히, 공급기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호처리기술와 자동화 설비 개발에 대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 ... | ||
기대효과 | ㅇ 기술적 측면 - 산업 스마트팩토리, 제조공정 효율화를 위한 개발 필요성 대두 · 최근 스마트팩토리 등을 필두로 제조공정의 효율화에 대한 수요가 많이 증가하고 있음. 황임 · 산업용 2D 레이저 스캐닝 센서는 전량 일본, 독일에서 수입해왔음. 이에 기존 일본이 독과점적 공급구조를 확보하고 있는 스캐닝 2D 센서에 대한 수출규제... | ||
키워드 | 신호처리,자동화,센서,반도체이송장비,라이다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연구개발단계 | 기타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간 과학과 기술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기타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기타 공공목적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기계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기계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4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