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리튬이차전지용 전구체 (101)면 배향성 향상을 통한 양극재 성능 특성 향상 연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15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하반기 본선)2019년도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사업 시행계획 2차 공고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리튬이차전지용 전구체 (101)면 배향성 향상을 통한 양극재 성능 특성 향상 연구
과제고유번호 1425138997
부처명 중소벤처기업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계속과제 이전연도 과제번호 1425134717
과제수행연도 2020 총연구기간 2019-10-15 ~ 2020-06-14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1-01 ~ 2020-06-14
요약 정보
연구목표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는 EMT(주)(B사)도 니켈 비중을 80% 이상으로 늘린 NCM을 생산하고 있으나, 최고 기술을 갖고 있는 일본(A사) 전구체와 달리 (101)/(001) 적분 면적이 약 1.1 정도로 크고, (101)/(001) 최고 높이 비율은 0.7 정도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해외 수출시 애로 사항이 큼□ 이는 전구체(N...
연구내용 □ 전구체 합성 시 ① 금속염 농도(1.0, 1.6, 2.4 M) ② pH (11.2, 11.8, 12.4) ③ 암모니아 농도 (0.36, 0.5, 1.0 M) ④ 교반속도 (500, 750, 1000 rpm) ⑤ 반응온도(50, 55, 60℃)를 공정변수로 하여 제조한 후 열처리 하여 구조적/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회사에 피드백함. □ 또...
기대효과 □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 산업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양극소재의 수명 및 안정성 확보로 셀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구체 스크리닝 및 도핑 제조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한다면, 공정의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어 연 평균 20% 이상의 고성장 양극소재 시장에서 최상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단계적 및...
키워드 리튬이차전지,양극활물질,전구체,결정성,공침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개발연구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ET(환경기술)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인공물 > 재료 > 금속재료 > 에너지소재기술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에너지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한밭대학교산학협력단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한밭대학교산학협력단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공학
사업비
국비 15,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