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참여기업]- 물탱크 설계 및 제작- 당밀탱크 설계 및 제작- 믹서탱크 설계 및 제작- 배양탱크 설계 및 제작[운영기관]- 물 온도, 당밀 양, 효모추출물 양, 소금 양의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pH 농도와 고농도 복합 미생물의 셀 수를 출력으로 사용하여 결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 - 물 온도, 당밀 양, 효모추출물 양, 소금 양의 정보를 입력으로 하... |
연구내용 |
[참여기업] - 원수를 물탱크에 일정량(1톤)을 공급받아 히팅을 하여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온도를 관리하며,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시스템에 의해 믹서탱크기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물탱크 설계 및 제작- 당밀탱크 재질은 미생물 균주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식성, 내산성에 강한 LLDPE (linear low density... |
기대효과 |
- 최적의 pH 농도(3.8 이하)와 고농도 복합 미생물의 셀 수( 이상)의 예측이 가능하여 배양되어진 고농도 복합 미생물을 버려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 할 수 있음- 실제 산업용으로 보급 가능한 pH 농도가 3.8 이하와 고농도 복합 미생물의 셀 수가 이상인 고농도 복합 미생물의 농가 보급이 가능함 - 내식성, 내산성에 강한 LLDPE(Linear ... |
키워드 |
딥 러닝 ,학습 데이터 확장,복합 미생물,배양기,pH 농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