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기상변수 및 진드기 서식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진드기매개 감염병 발생 시공간 예측 모형 개발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90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기상변수 및 진드기 서식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진드기매개 감염병 발생 시공간 예측 모형 개발
과제고유번호 1465031104
부처명 다부처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계속과제 이전연도 과제번호 1465029221
과제수행연도 2020 총연구기간 2018-08-06 ~ 2022-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요약 정보
연구목표 1. 기상(온도, 습도, 강수량) 및 환경(토지피복도)변수를 활용하여 쯔쯔가무시병을 유발하는 털진드기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발생 밀도 예측 모형 구축2. 기상, 환경 및 매개체(털진드기) 밀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하에서 쯔쯔가무시병 시간적, 공간적 발생 빈도 예측 모형 구축3. 기상 및 환경변수를 활용하여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연구내용 1. 베이지안 모형을 적용하여 전국 16개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센터의 털진드기 채집자료를 활용한 시간적, 공간적 발생 밀도 예측 모형 구축2. 쯔쯔가무시병에 대한 SEIR 모형 구축3. 베이지안 모형을 적용하여 전국 16개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센터의 참진드기 채집자료를 활용한 시간적, 공간적 발생 밀도 예측 모형 구축4.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
기대효과 1.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주요 진드기 종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분포 및 밀도 변화에대한 예측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향후 환자 발생 규모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져 공중보건학적 자원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음2.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론은 진드기 매개체 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학적 종들과 사람의 질병 발생 분포연구에서도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질병 및 매개체 ...
키워드 기후변화,진드기,진드기매개감염병,예측모델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응용연구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기타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자연 > 수학 > 응용통계 > 의학/생물통계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건강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한국과학기술원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이학
사업비
국비 56,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