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국내 지역 특화 자생 식물 및 희귀 자생 식물 발굴 및 친환경 공정 기반 기술을 응용한 더마 코스메틱 신소재 개발 ● 친환경공정기반기술을 활용한 지역 특화 및 희귀 자생식물 자생식물 소재 개발● 친환경공정기반기술을 활용한 지역 특화 및 희귀 자생식물 개발 소재 원료 표준화● 친환경공정기반기술을 활용한 개발 원료 적용 응용 연구 및 시제품 제작 |
| 연구내용 |
1) 지역 특화 식물자원 확보(1차년도) (8종) 및 국내 자생 및 희귀 식물자원 확보 (5종) (2차년도) - 확보된 식물자원으로부터 식물세포주 개발 - 확보된 식물세포주의 기내 대량증식 체계 확립 - 식물세포주 활성평가를 위한 건조시료 제작 2) 지역특화 자생식물세포주의 대량증식체계 확립(1차년도) 및 희귀자원 식물세포주의 대량증식체계 확립 (2차년도... |
| 기대효과 |
- 식물 자원의 세포주개발을 통한 대량생산 및 실용화 기반 구축을 통해 원산지와 환경 요인에 관계없이 연중 생산하고 표준화된 생리 활성성분을 함유한 소재 대량 확보- 국내 희귀 자생식물을 활용한 조직 배양 및 친환경 공정 기반을 적용함으로서 기존 소재와의 차별화를 통해 새로운 소재 시장 구축- 생리활성 효능 기전 연구결과를 활용한 더마 코스메틱 신소재 발굴... |
| 키워드 |
생물자원,식물세포주,생물전환기법,대체소재,화장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