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3
2024-05-21
내역사업 | 우수신진연구 |
---|
과제명 | 암세포 살상능 반영 NK 세포 활성화 선택적 모니터링 분석기술 | ||||
---|---|---|---|---|---|
과제고유번호 | 171110656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3-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3-01 ~ 2021-02-28 |
연구목표 | ‣ 현재까지 NK 항암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할 때의 NK 세포 추적 기술은 치료를 위해 이식된 모든 세포를 모니터링하고 있지만 실제로 일부의 활성화된 면역 세포만이 표적 암세포를 살해하는 능력을 보유함 ‣ 본 연구에서는 치료를 위해 주입하는 모든 NK 세포를 추적하는 것이 아닌 표적 종양에서 암세포 살상능을 보유한 활성화된 NK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모니터... | ||
---|---|---|---|
연구내용 | ‣ NK 세포는 세포막의 활성화 및 억제 수용체와 표적 암세포의 상응하는 리간드의 상호작용의 균형을 통해 활성화되는데 특정 수용체만을 표적으로 하여 NK 세포 활성화를 모니터링하는 영상기술 개발이 어려움 ‣ NK 세포와 암세포의 공동배양에서 NK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전사조절인자의 활성을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활성화된 NK ... | ||
기대효과 | ‣ 항암 면역치료제 기술은 난치암 극복을 위한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로 활발히 연구 개발되는 분야임 ‣ 항암 NK 면역세포치료제 개발하는데 있어 주요 장애는 세포의 생체 내 모니터링 즉 생체 내 effector-to- target (NK 세포: Tumor) 비율 및 암세포 살상능 정량화를 위한 비침습적 기술이 미흡한 실정이며 감도가 높은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 ||
키워드 | 자연살해 세포,암세포 살상능,모니터링 분석 영상기술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면역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국비 | 9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