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뇌 신경세포-미세아교세포 상호 간 케모카인 조절을 통한 주요우울장애 억제 소재 연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53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생애 첫 연구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뇌 신경세포-미세아교세포 상호 간 케모카인 조절을 통한 주요우울장애 억제 소재 연구
과제고유번호 1711112073
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계속과제 이전연도 과제번호 1711091222
과제수행연도 2020 총연구기간 2019-03-01 ~ 2022-0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3-01 ~ 2021-02-28
요약 정보
연구목표 주요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는 세로토닌을 중심으로 모노아민계 뇌 신경전달물질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잘 알려짐 (Jo et al, 2015). 현재 치료제로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삼환계 항우울제 (TCA),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MAOI) 등이 처방되고 있으나 초기 복약 순응도가 30% 정도로...
연구내용 1차년도 목표: 미세아교세포/신경세포 공생배양을 활용한 CX3CR1 조절 소재탐색 내용: Neuronal apoptosis를 유도하는 microglia 과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한약소재 평가 1. 산조인, 백자인, 원지, 합환피, 아교등, 석창포 소합향, 안식향, 섬수, 장뇌 등의 안신약 또는 개규약 적용 (30%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추출물) 2. LP...
기대효과 - 기존 항우울제의 치명적 제한점에 대한 문제해결형 연구를 목표: 매년 급격히 증가하는 주요우울장애는 경제-사회-산업 전반에 걸쳐 타개해야 할 중요한 정신질환임. 오랜 전임상/임상연구 기반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명확한 병태-약리기전이 규명되지 않았고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문제해결형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함. - 뇌 미세아교세포는 우울...
키워드 주요우울장애,미세아교세포,케모카인,한약소재,시냅스 가지치기,뇌 염증반응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BT(생명공학기술)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생명 > 보건의료 > 한의과학 > 한약/한약제제개발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건강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대전대학교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대전대학교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의약보건학
사업비
국비 30,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