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RIPK1-결합단백 발굴 및 활성조절을 통한 세포사멸모드 조절 연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52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유형1-2)중견연구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RIPK1-결합단백 발굴 및 활성조절을 통한 세포사멸모드 조절 연구
과제고유번호 1711112991
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신규과제
과제수행연도 2020 총연구기간 2020-03-01 ~ 2025-0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3-01 ~ 2021-02-28
요약 정보
연구목표 RIPK1의 활성화는 암세포 사멸모드를 apoptosis에서 네크롭토시스로 전환하는 필수요인으로 작동됨. 따라서 RIPK1을 통한 네크롭토시스로의 암세포사멸모드 유도연구는 apoptosis 조절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임. 본 과제에서는 ①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또는 신규로 발굴되는 RIPK1 활성제어 단백질 및 활성화합물의 일차작용점 및 그 ...
연구내용 1. 연구기반 확립(네크롭토시스 모델세포주 확립, 신규 Ub-RIPK1 결합단백 선별) • Apoptosis 회피 네크롭토시스-유도 세포주 확립(CRISPR-Cas9/viral 시스템) - FADD KO, caspase-8 dominant negative transgenic, RIPK3 과발현세포주 등 - One vector 유도모듈에 의한 타겟유전자...
기대효과 1) 의학적 미충족욕구(Unmet Needs) 해결: 새로운 개념의 RIPK1를 통한 조기세포사멸체크포인트 조절전략을 제시함으로서, 기존의 NF-kB전사조절에 의한 리간드-비특이성 및 세포독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임. 2) 독창적인 RIPK1 활성 조절 경로 설정: RIPK1 활성화를 제어하는 신규 유전자원 확보 및 죽음수용체를 통한 독창적인 네크...
키워드 세포사멸모드 전환,네크롭토시스,RIPK1-결합단백,세포사멸 체크포인트,죽음수용체복합체,암세포사멸 저항성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BT(생명공학기술)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생명 >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약리학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건강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충남대학교(의대)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충남대학교(의대)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공학
사업비
국비 200,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