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RIPK1의 활성화는 암세포 사멸모드를 apoptosis에서 네크롭토시스로 전환하는 필수요인으로 작동됨. 따라서 RIPK1을 통한 네크롭토시스로의 암세포사멸모드 유도연구는 apoptosis 조절실패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임. 본 과제에서는 ①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또는 신규로 발굴되는 RIPK1 활성제어 단백질 및 활성화합물의 일차작용점 및 그 ... |
| 연구내용 |
1. 연구기반 확립(네크롭토시스 모델세포주 확립, 신규 Ub-RIPK1 결합단백 선별) • Apoptosis 회피 네크롭토시스-유도 세포주 확립(CRISPR-Cas9/viral 시스템) - FADD KO, caspase-8 dominant negative transgenic, RIPK3 과발현세포주 등 - One vector 유도모듈에 의한 타겟유전자... |
| 기대효과 |
1) 의학적 미충족욕구(Unmet Needs) 해결: 새로운 개념의 RIPK1를 통한 조기세포사멸체크포인트 조절전략을 제시함으로서, 기존의 NF-kB전사조절에 의한 리간드-비특이성 및 세포독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임. 2) 독창적인 RIPK1 활성 조절 경로 설정: RIPK1 활성화를 제어하는 신규 유전자원 확보 및 죽음수용체를 통한 독창적인 네크... |
| 키워드 |
세포사멸모드 전환,네크롭토시스,RIPK1-결합단백,세포사멸 체크포인트,죽음수용체복합체,암세포사멸 저항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