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이차원 소재의 플라즈몬 공명 및 밴드갭 제어를 통한 고감도, 초고속, 광대역 광센싱 원천기술 연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62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유형1-2)중견연구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이차원 소재의 플라즈몬 공명 및 밴드갭 제어를 통한 고감도, 초고속, 광대역 광센싱 원천기술 연구
과제고유번호 1711113155
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계속과제 이전연도 과제번호 1711087823
과제수행연도 2020 총연구기간 2019-03-01 ~ 2022-02-28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3-01 ~ 2021-02-28
요약 정보
연구목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급부상하고 있는 A.I(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자동차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최근 들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에 있어 초고성능 광센서 개발 또한 함께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즉,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전한 자율주행 위해서는 초고감도 및 초고속 동작, 그리고 가시광과 근적외선을 모두 포함하는...
연구내용 ① 갭모드 플라즈몬 공명을 통한 높은 광반응도 (최종목표: 30 A/W 이상)-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광센서의 광반응도는 1 A/W에 불과하며 소재의 물리적인 특성상 한계가 있음.- 한편, 그래핀과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TMD) 등 이차원 소재는 우수한 광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광센서의 초고감도, 초고속, 광대역 검출을 달성하는 것은 이상적인 목표로서 도전적인 과제이다. 본 과제의 최종목표인 광반응도 30 A/W, 응답속도 5 ns, 400-1600 nm의 검출대역이 달성된다면 향후 자율주행 자동차 및 자율적 시스템 분야 등의 4차산업 IoT 기반에서 요구되는 광센서의 대부분의 성능이 만족될 것으로 기대된...
키워드 광센서,이차원 소재,갭모드 플라즈몬 공명,이차원 소재 이종접합 합성법,이차원 소재 도핑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NT(나노기술)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인공물 > 전기/전자 > 광응용기기 > 광소자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제조업(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한국과학기술원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이학
사업비
국비 200,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