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팀은 그동안 국가적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최근 관심이 급증한 언어 폭력 및 유해 언어 문제에 있어 국가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해 본 연구팀이 가지는 기술적 성숙도를 활용하여 해당 문제에 대하여 상술한 근본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개인 주도 방식의 언어 유해 방지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 |
| 연구내용 |
텍스트상에 언어폭력과 관련된 표현이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의미의 언어폭력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모두 찾아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연언어처리 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온라인 콘텐츠의 유해정도를 파악하고 설명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상의 다양한 매체(소셜 미디어, 메신저, 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등)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
| 기대효과 |
본 연구팀은 고차원적인 언어 분석 및 이를 통한 고성능-복잡 기능 인공지능 개발을 통해 단순히 온라인 콘텐츠상에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단어 및 표현의 탐지뿐만 아니라 간접적 혹은 은유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폭력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읽지 않을 권리”와 “쓰지 않을”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을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알린... |
| 키워드 |
언어 폭력,혐오 발언,언어사용 분석,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자연언어처리,텍스트 마이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