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신경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성통증(neuropathic pain)의 병리기전으로 척수내 미세아교세포(microglia)활성에 의한 중추감작이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음. 본 과제는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인자중 Na이온의존성 수송체(Na+ dependent ion transporter)를 중심으로 미세아교세포 활성조절관련 신규 타겟을 발굴하고 나노... |
| 연구내용 |
▪ 1차년도 (2020) : 신경병증성 통증에 연관된 척수내 미세아교세포 활성관련 Na이온의존성 수송체 발굴(1) 신경병증성 통증동물모델의 척수 등쪽뿔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관련 Na이온의존성 수송체 발현조사(2) 통증관련 미세아교세포 활성유도 후 Na이온의존성 수송체 검증(3) Na이온의존성 수송체의 미세아교세포 활성조절 검증 및 발굴▪ 2차년도 (202... |
| 기대효과 |
□ 기존 치료제의 한계점 극복 - 기존 치료제는 약물의 지속시간이 짧고 장기간 사용할 때 부작용이 발생해서 사용에 많은 한계점이 있음. 이는 이러한 약물이 통증 신호의 전달 및 처리를 담당하는 신경세포를 표적하기 때문임. 기존 과제에 보고된 Evans blue는 신경병증성통증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조절하기 때문에 Gabapentin의 경우 24시간이내... |
| 키워드 |
Na이온의존성 수송체,신경병증성통증,미세아교세포,중추감작,신경염증,나노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