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염색질 3차구조 기반 별아교세포 (astrocyte) 발생 단계 특이적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 규명이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목표를 제안함. 세부 연구 목표:‣ 염색질 3차구조 분석을 위한 small scale Hi-C 실험 방법 확립‣ 발생 단계 특이적 염색질 3차구조 및 활성도 분석을 위한 신규 데이터 분석 방법 확립... |
| 연구내용 |
염색질 3차구조는 게놈의 기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이와 관련한 근본 조절 원리는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음. 이에 본 연구팀은 발생 단계별 별아교세포의 유전자 발현 과정을 모델 시스템으로 하여 세포 분화 특이적 염색질 3차구조 규명 및 이에 따른 유전자 조절 기전 원리를 이해하고자 함. 이를 통해 신진연구 과정에서 일부... |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학문적 기대 효과로는 소량의 세포로도 염색질 3차구조 분석이 가능한 small scale Hi-C 실험 방법 정립과 염색질 3차 구조 기반 발생 또는 분화 특이적 유전자 조절 기전 연구를 위한 생물정보학 파이프라인 개발을 통한 관련 분야 연구를 위한 신규 기술 확립이 예상 됨. 또한 별아교세포 분화 및 성숙 단계별 후성유전체 지도 작성을 ... |
| 키워드 |
염색질 3차구조,별아교세포 발생,후성유전적 유전자 조절,단일세포 후성유전체,원거리 인핸서-프로모터 상호작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