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1년차 연구의 목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어깨근육 강화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관절가동범위(ROM), 기능상태, 근력, 삶의 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제 2년차의 연구 목표는 1년차 메타분석 연구를 통해 규명된 사항을 근거로 어깨근육 강화 운동 프로그램을 모바일 앱으로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
연구내용 |
연구내용: 1년차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통증을 측정하기 위해 NRS(Numeric rating scale)로 통증의 정도를 분석한다. 둘째, 어깨관절의 가동범위 측정은 관절각도계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견괄절 복합체의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 외전(abduction), 내회전(internalratatio...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프로그램이 어깨근육 강화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관절가동범위(ROM), 기능상태, 근력, 삶의 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1년차),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년여성을 어깨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2년차)은 학술적인 가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중년여성에게 흔한 어깨 통증을 치료하... |
키워드 |
중년여성,운동프로그램,어깨통증,트라이앵귤레이션,모바일 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