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본 연구에서는 다공소재 계층화 기술 개발과 차세대 에너지저장 및 전환 장치를 포괄하는 다공소재 기반 선도통합형 차세대 에너지장치 플랫폼 구축을 최종 목표로 함. 1) 다차원 자기조립 기술을 이용하여 미세상과 거대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1) 기공 구조(메조·매크로 기공의 크기, 길이, 방향), 2) 형상(입자형, 2차원 나노시... |
| 연구내용 |
- 다차원 자기조립 시스템을 도입하여 미세상분리와 거대상분리 현상을 동시에 제어가능한 시스템 설계 후 이를 나노-매크로 구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 미세상 분리를 통한 나노 다공 구조(구조 규칙성, 기공 크기, 연결성)의 제어 + 거대상 분리를 통한 매크로 구조(매크로기공 & 입자의 형상)의 제어 가능- 메조·매크로 계층형 다공 소재 합성과... |
| 기대효과 |
- 다차원 자기조립 기반 계층구조 다공소재 제어 시스템은 본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제시를 한 기술이며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이 될 것임. 나노-매크로 구조의 계층화 원천 기술을 확보하여 세계적으로 관련 분야를 선도하여 새로운 연구분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며 다공소재의 조성과 물성의 제어를 통한 에너지 장치의 심도 있는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음. 또한, 계... |
| 키워드 |
다차원 자기조립,계층형 다공구조,입자의 형상제어,다공성 전이금속 탄화물,질화물,리튬-황 전지,촉매형 다공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