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대한민국은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노후빈곤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공동체의 존속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적인 한계로 자산운용사가 아닌 최적화 기술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민을 위한 생애주기 자산관리는 단순히 자산만을 고려하여 높은 수익률을 목적으로 한 형태이면 안되고 생애주기동안의 필수적인... |
| 연구내용 |
1차년도 다단계 추계적 최적화 문제를 하나의 큰 수리계획법 문제로 표현하여 시나리오 트리의 각 노드에서 결정변수의 최적해를 구하는 추계계획법(SP)과 달리 추계적 쌍대 동적계획법(SDDP), 근사적 동적계획법(ADP)의 형태로 풀기 위해서는 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 작은 문제로 나눠야 한다. 1차년도 에서는 추계계획법으로 풀던 ALM문제를 마르코브 결정 과정... |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대효과:현재 자산 부채 관리(Asset Liability Management, ALM) 문제를 푸는 방법론으로 MSP가 가장 많이 쓰이고, SDDP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MSP는 차원의 저주에 매우 취약하고, SDDP는 차원의 저주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만 단계간 독립성을 가정하기 때문에 금융분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 |
| 키워드 |
개인 맞춤형 생애주기 자산관리,자산 및 부채 관리,차원의 저주,제약적 강화학습,심층 강화학습,근사적 동적 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