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광대역(UV-SWIR)영역의 빛에 감응할 수 있는 롤러블 광전소자의 구현을 위한 핵심신규 용액공정 광전소재의 설계/합성 및 소자 안정성 향상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광대역(UV-SWIR)영역의 빛에 감응할 수 있는 용액공정기반 유기 및 무/유기 하이브리드기반 핵심 소재 설계/합성 및 스케일업 기술 개발NIR 및 SWIR감지용 이미지센서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 |
연구내용 |
1단계(2020~2022, 3년)▶ 광대역(UV-NIR) 신규 유기계 광전소재 설계/합성 및 밴드갭 자유제어 기술 개발▶ 광대역(UV-SWIR) 신규 무/유기 하이브리드 광전소재 설계/합성 및 밴드갭 자유제어 기술 개발▶ 광대역(UV-NIR 광전소재 합성 스케일업 기술 개발2단계(2023~2024, 2년)▶ 광대역(UV-NIR) 유기계 광전소재 합성 스케일... |
기대효과 |
용액공정기반 유기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광전소재의 밴드갭 자유제어 및 양자효율 향상 기술 개발을 통해 기존의 웨어퍼기반의 단결정소재 및 증착공정 소재를 대체함으로써, 기존 무기계 광전소자대비 저가/대면적화 및 디자인 요소와 심미성을 높인 차세대 광전소자를 개발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높여 신시장 창출에 기여차량 및 보안용 이미지센서관련 핵심 신규 광전소재의 ... |
키워드 |
광전소재, 광대역, 광전소자, 유기 반도체, 무유기 하이브리드 반도체, 대면적 모듈, 근적외선, 단파 적외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