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소재고유형 스트레처블(Intrinsically stretchable) 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요소가 신축성 있는 소재로 대체되어야 함. 특히, 고분자 기반의 스트레처블 태양전지용 중간층의 개발은 여전히 연구개발 초기 단계에 있음. 본 연구진은 고안정성 스트레처블 유기태양전지 구현을 위한 핵심신규 용액공정 고분자 소재 기반 신축성 정공수송층/전... |
| 연구내용 |
[정량적 목표]1) 신규 고분자 6종, 고분자 복합체 개발 5종, 합성 스케일 2g2) 100% 인장 후 면저항 증가 초기대비 20% 이내3) 50% 인장 10,000회 후 면저항 증가 초기대비 20% 이내4) 정공수송층 투과율 > 95% (AVT 기준)5) 전극 투과율 > 90% (AVT 기준)[정성적 목표]1단계(2020~2022, 3년)- 스트레처블 ... |
| 기대효과 |
-고분자 기반 신축성이 강화된 정공수송층 및 전극 향상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의 표면이 단단한 기판 위의 사용되는 신축성이 한정된 소재를 대체함으로써, 기존 자유 형상이 불가능한 유/무기 태양전지를 뛰어넘는 4차혁명 시대의 핵심이 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높여 신시장 창출에 기여-플렉서블을 뛰어넘는 스트레처블 기술을 신규 고분자의 ... |
| 키워드 |
스트레처블,신축성,유기태양전지,유기소재,고분자,정공수송층,전극,표면 에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