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98
2024-05-21
내역사업 | 해외고급과학자초빙사업Plus(BP+) |
---|
과제명 | 희귀질환 자원, 진단 및 환자맞춤형 신약개발 허브 구축 | ||||
---|---|---|---|---|---|
과제고유번호 | 1711119741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7-01 ~ 2029-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7-01 ~ 2020-12-31 |
연구목표 | 최근 유전체분석 기반 약물개발 기술의 발달로 신약개발 비용이 낮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희귀질환 신약개발 연구가 활발해짐. 희귀질환은 각 질환별 환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리소스의 중앙화가 필요하며 환자의 유전체분석과 약물개발이 긴밀하게 연관되므로 진단과 신약개발 연구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기관이 필요함. 이에 전 세계적으로 통합적 희귀질환 센터들이 설립되고 있... | ||
---|---|---|---|
연구내용 | ① 연구 리소스 플랫폼 구축(1) 레지스트리: 전세계 희귀질환 클리닉, 유전체 분석 기관/업체, 환자 협회/재단 등과 협업을 통해 환자/보호자의 동의하에 환자의 기존 환자의 의료기록과 유전자 검사 결과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 구축.(2) 세포주 은행: 환자의 검체 (혈액, 피부생검 조직)를 전달받아 세포주 (혈액 lymphoblast, 피부 fibrobla... | ||
기대효과 | 비영리 희귀병 센터 설립을 통한 진단 실패 희귀병 환자들에게 지속 가능한 유전체 기반 진단 서비스 및 환자 맞춤형 치료제 개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희귀병 환자들의 건강을 증진함.산학 프로젝트, 기술이전, 기업화를 통한 수익 창출 및 국가경제 발전: (1) 희귀유전병 환자맞춤형 신약개발 플랫폼 상업화, (2) RNA기반 약물설계 기술을 활용한 치매, 뇌종양... | ||
키워드 | 환자맞춤형 신약개발,유전체분석 기반 신약개발,유전질환 발병원인 규명,RNA기반 신약개발,희귀 유전질환 진단율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유전학·유전체학 > 유전자 편집·치료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의료용물질 및 의약품)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