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별아교세포 포식 능력 조절을 통한 조현병 제어 기술 개발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54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뇌질환극복연구사업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별아교세포 포식 능력 조절을 통한 조현병 제어 기술 개발
과제고유번호 1711119783
부처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신규과제
과제수행연도 2020 총연구기간 2020-07-01 ~ 2024-12-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0-07-01 ~ 2020-12-31
요약 정보
연구목표 조현병의 발병은 뇌 발생 단계에서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환경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음이 알려져 있음. 최근 본 연구실의 선행연구를 통해 신생아 모성 결핍의 동물 모델인 Early social deprivation (ESD)을 mouse에서 수행했을 때, astrocyte의stress hormone receptor가 강하게 활성화되며, 이에 따라 astro...
연구내용 모성 결핍 (ESD) 모델에서 astrocyte의 시냅스 소멸 기전 활성화의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시냅스 소멸 및 시냅스 수 변화를 정량화함. 특히 스트레스 호르몬 증가에 따라 영향을 받는 특정 뇌 회로 및 지역을 밝히고 이와 조현병의 상관관계 규명.조현병의 유전적 요인 중 하나로 알려진 DISC1 Knock-In (KI) 마우스 모델을 도입하고...
기대효과 조현병 발병 원인에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던 astrocyte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타겟 및 페러다임을 제안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을 결합시킨 마우스 조현병 모델을 구축하여 복합적 요인에 대한 심층 연구 가능아동학대 및 모성 결핍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특정화된 기전을 통해 실제적으로 조현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적 경각...
키워드 별아교세포,미세아교세포,조현병,포식작용,시냅스 소멸,모성결핍,스트레스 호르몬,약물 스크리닝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기초연구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BT(생명공학기술)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생명 > 생명과학 > 발생/신경생물학 > 신경질환생물학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건강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한국과학기술원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이학
사업비
국비 135,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