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본 연구의 장기적인 목표는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 반응이 피부암 발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이해하고 합리적인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임. ○ 본 연구과제는 개인별 질병 위험도 예측 및 맞춤형 치료에 활용이 가능한 DNA 복구 활성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DNA 손상 반응의 새로운 메커니즘 규명을 목표로 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1... | 
                            
                            
                                | 연구내용 | 
                                ○ 피부암 감수성이 개인마다 큰 차이를 나타내는 이유는 표피 세포의 DNA로부터 자외선 광생성물(photoproducts)를 제거하는 뉴클레오티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 NER) 시스템의 활성이 개체 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음.○ 그러나, NER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분석법들은 대부분 간접적이고 인... | 
                            
                            
                                | 기대효과 | 
                                ○ 피부암 예방에 있어서 이러한 뉴클레오티드 절제 복구(NER) 시스템의 중요한 역할 때문에 환자 유래 세포 또는 조직에서 DNA 복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법은 피부암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함.○ 또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표피에서 DNA 복구 능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분석법은 피부암 위험의 예측뿐만 아니라, 이 위... | 
                            
                            
                                | 키워드 | 
                                DNA 복구 활성,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자외선,DNA 손상,DNA 손상 반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