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영유아검진코호트 database를 이용하여 미숙아망막병증의 역학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발생률 및 유병률을 조사해보고, 변화된 치료경향을 파악하며, 최종 실명 및 약시의 발생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질병의 발생률, 경과 등을 분석하여 미숙아망막병증의 역학 및 기본자료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 연구내용 |
미숙아망막병증은 소아실명의 주된 원인이며, 고위험군 미숙아가 증가함으로써 진단 및 치료 역시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 현재까지 미숙아망막병증의 대규모 역학연구는 제한적이며,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대규모 다기관 역학연구는 거의 없었다. 최근 미숙아망막병증의 치료는 표준 레이저치료와 더불어 유리체강내 주사치료 역시 많은 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다. 미숙아의 증... |
| 기대효과 |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대규모 발생률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로, 본 연구는 단일 기관 코호트가 제공하지 못하는 전체 의료이용 내역을 포괄하는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므로 완결성 높은 연구가 될 수 있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 및 치료형태 등 역학 기초자료를 구축하여 질병의 병인을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공공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 |
| 키워드 |
미숙아망막병증,미숙아망막증,역학,빅데이터,발생률,약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