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차세대 패키지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열 및 구조적 설계를 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신뢰성이란 제품이 얼마나 오랫동안 의도한 성능을 유지하는가에 대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차세대 패키지에 대한 열 및 역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여 작동 중 패키지 내부의 온도 및 응력 분포도를 얻고자 한다. 패... |
| 연구내용 |
차세대 패키지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발열량 증가에 따른 패키지 내부 온도의 상승과 온도 불균일이며, 두 번째는 온도 변화에 의한 접합부에서의 열응력 발생이다. 실제 설계된 차세대 패키지에 대해 이러한 요인이 얼마나 크게 작용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패키지에 대한 열 및 역학적 모델링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
| 기대효과 |
인공지능과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고성능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러한 차세대 반도체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는 구조 때문에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개발은 이러한 차세대 반도체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는 열 및 구조 설계... |
| 키워드 |
신뢰성,고방열,고대역폭 메모리,인터포져,패키지 물질,실리콘 관통 전극,박리,열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