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3
2024-05-21
내역사업 | 신소자원천기술개발 |
---|
과제명 | 저전력 및 초소형 실리콘 나노선 기반 난수발생기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1346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7-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7-01 ~ 2020-12-31 |
연구목표 | ○ 기존 CMOS 기반 난수발생기 대비 소모 전력 및 면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신소자 기반 난수발생기 개발○ 실리콘 나노선(Silicon Nanowire) 기반 저전력/저면적 및 초소형 단위소자 개발CMOS 공정 기술로 1 μm2 이하 면적 단위소자 제작50 nW 이하 전력, 소모 에너지 1.25 pJ/bit 이하, 처리량 40 kbps 이상의 성... | ||
---|---|---|---|
연구내용 | ○ (소자 개발) 단위 공정, 실리콘 나노선 일괄공정 개발 및 소자 제작실리콘 나노선 소자 구조 설계 및 2-D TCAD 시뮬레이션레이아웃, 마스크 제작, 단위 공정 개발100% CMOS 공정으로 실리콘 나노선 기반 난수발생기 단위 소자 제작NIST SP 800-22 표준 평가환경 구축 및 단위소자 난수성 검증실리콘 나노선 출력신호 난수성의 물리적 근원 규... | ||
기대효과 | ○ 활용계획저전력/저면적 난수발생기 개발과 이를 적용한 보안 칩 설계를 통하여 IoT 기기 등의 저전력 환경에서 강력한 보안성 확보 및 제품 경쟁력 향상향상된 난수발생기를 이용한 AES 보안 칩 설계기술 확보와 응용연구 연계 기반 마련국내 보안 및 IoT 산업 분야에 필요한 보안 관련 신소자 및 회로 전문가 인력 확보○ 기대효과신소자 기반 난수발생기 개발과... | ||
키워드 | 저전력,저면적,실리콘 나노선,난수 발생기,씨모스 공정,난수성,에너지 효율,바이리스터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전기/전자 > 반도체소자·회로 > Si 소자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222,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