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특구 내 연구기관별 은퇴자(예정자)를 대상으로, 특구 내 기업 및 출연(연) 패밀리기업의 전담 비상근 기술 애로 상담과 기초 진단 및 처방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기술주치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 기술주치의 교육 (신규 및 보수 교육) //교육 커리큘럼 개발//기술주치의 기업 진단 지원(기술사업화 역량진단 내부역량진단 설... |
| 연구내용 |
기술주치의 교육 프로그램 구성 ○ 고경력 과학기술인 맞춤형 기술주치의 교육 프로그램 ○ 중소기업 애로요인 이해 및 기업 대응 역량강화 교육 ○ 기술사업화 애로요인 진단 역량 강화 교육 강화 교육 ○ 기술주치의 활동 및 중소기업 지원 노하우 공유○ 기업 맞춤형 최적 솔루션 제공을 위한 분석 시스템 및 외부자원 활용 교육기술주치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 |
| 기대효과 |
○ 일자리 창출을 통해 은퇴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新중년층의 소득절벽 현상*을 완화하고, 중장년층의 소비여력 확대에 기여○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국가경쟁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연구경험이 풍부한 고경력자들의 시장 재진입은 경제성장의 질적 제고에 기여○ 고경력 은퇴 혹은 경력단절 과학기술인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기 때문에 기술개발 및... |
| 키워드 |
기술주치의,신중년,은퇴과학자,교육 프로그램,진단,처방,중소기업,기술사업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