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9
2024-05-21
내역사업 | KAIST-KUSTAR 교육·연구협력사업 |
---|
과제명 | 의료용 임플란트 응용을 위한 복합생체막의 접착력 골유도 향상에 관한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5337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2-01 ~ 2020-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2-01 ~ 2020-12-31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골 재생 효능을 가지는 폴리도파민-하이드록시아파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 (Polydopamine coated Hydroxyapatite/[poly(vinylidene fluoride-co-trifluoro ethylene)], PD-HAp/P(VDF-TrFE)으로 구성된 의료용 소재기술 개발이다.하이드... |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골 재생 효능을 가지는 의료용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필러-매트릭스 간의 계면 에너지 안정화를 통한 복합필름 제조, 필름 분리 용이성과 필름 취성 개선을 위한 박막제조기술, 압전 상수 증가를 위한 코로나 폴링(Corona poling), 필름의 압전 특성과 표면 구조 분석을 위한 원자간력 현미경(AFM) 분석, 생체적합성 판단을 위한 세포 생장 분... |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골재생 효능을 가지는 의료용 소재로 골절 관련 치료에 사용되어 상처의 빠른 회복을 돕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필름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뼈에 사용될 수 있는 의료용 밴드로의 기술 개발 가능성이 높다. | ||
키워드 | 압전복합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골유도, 원자간력현미경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재료 > 고분자재료 > 고분자 가공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22,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