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스케일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항공시스템 제어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멀티스케일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항공시스템 제어 |
과제고유번호 |
1711125352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1-01 ~
2022-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1-01 ~
2020-12-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1. 극초음속 유동의 unstart 물리적현상 이해 증진2. 도심유동 환경 모델링3. 대기유동과 풍력단지의 상관계를 이해하고 단지효율을 증대 |
연구내용 |
고해상도 LES 툴을 개발하여 미세한 난류장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각 해석대상의 거시적 거동을 분석한다.이는 기존의 툴을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거대병렬계산환경을 구축한다.도심유동해석은 기존연구와는 차별화된 분야이며 이는 차세대 이동수단에 응용하는 분야이다.고고도의 풍력발전에 응용되는 기술을 개발한다.이는 균일등가값을 획기적으로 줄이는데 기여한다. |
기대효과 |
극초음속 기술은 현재 각 선진국에서 개발 중인 국방과제이다.도심항공모빌리티는 도심밀집지역에서의 비행안전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따라서 도심이동수단을 대체할 수 있는 연구이며 10년 후 12조의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고도의 풍력에너지는 현재 지상/해상 풍력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개념 에너지생성 수단이며 재생에너지의 안착에 기여한다. |
키워드 |
극초음속도심항공모빌리티풍력에너지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ST(우주항공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기계 > 항공시스템 > 항공시스템 관련 S/W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사업비
국비 |
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멀티스케일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항공시스템 제어 |
과제고유번호 |
1711125352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1-01 ~
2022-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1-01 ~
2020-12-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1. 극초음속 유동의 unstart 물리적현상 이해 증진2. 도심유동 환경 모델링3. 대기유동과 풍력단지의 상관계를 이해하고 단지효율을 증대 |
연구내용 |
고해상도 LES 툴을 개발하여 미세한 난류장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각 해석대상의 거시적 거동을 분석한다.이는 기존의 툴을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거대병렬계산환경을 구축한다.도심유동해석은 기존연구와는 차별화된 분야이며 이는 차세대 이동수단에 응용하는 분야이다.고고도의 풍력발전에 응용되는 기술을 개발한다.이는 균일등가값을 획기적으로 줄이는데 기여한다. |
기대효과 |
극초음속 기술은 현재 각 선진국에서 개발 중인 국방과제이다.도심항공모빌리티는 도심밀집지역에서의 비행안전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따라서 도심이동수단을 대체할 수 있는 연구이며 10년 후 12조의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고도의 풍력에너지는 현재 지상/해상 풍력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개념 에너지생성 수단이며 재생에너지의 안착에 기여한다. |
키워드 |
극초음속도심항공모빌리티풍력에너지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ST(우주항공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기계 > 항공시스템 > 항공시스템 관련 S/W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사업비
국비 |
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