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6
2024-05-21
내역사업 | 신임교원정착연구비 |
---|
과제명 | 웹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가 뉴스의 진위 판단 및 수용에 미치는 영향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5359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3-01 ~ 2023-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3-01 ~ 2020-12-31 |
연구목표 | ● 가짜 뉴스의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뉴스 컨텐츠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및 수용, 즉 미디어 리터러시의 함양이 논의되고 있음.● 미디어 리터러시는 가짜 뉴스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뉴스의 진위 여부를 비롯한 뉴스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는 단서를 알려줌으로써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동기와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음.● 그러나 가짜 뉴스에 대한 대안으로서 뉴스의 진... | ||
---|---|---|---|
연구내용 | ● 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수준이 친/반태도적 뉴스 기사의 지각, 판단,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뉴스 지각, 판단, 수용을 이끄는지, 혹은 반대로 확증편향을 유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함.● 의 수행을 위해 2(미디어 리터러시 영상 시청 vs. 비시청) x 2(친태도적 vs. 반태도적 뉴스 노출), 총 4가지 조건을 구성해 ... | ||
기대효과 | ● 본 연구의 목적은 1)비판적 사고가 (친태도적 vs. 반태도적) 뉴스의 진위 여부, 중립성, 정보적 가치를 판단하고 나아가 뉴스를 수용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임. 나아가 비판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웹 기반 뉴스 평가 시스템의 효용성을 분석하여 가짜 뉴스의 확산에 대한 대응으로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 | ||
키워드 | 미디어 리터러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가짜 뉴스, 정보 진위성, 웹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고양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CT(문화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문사회학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문화, 여가증진, 종교 및 매스미디어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인문사회학 |
국비 | 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