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가짜 뉴스의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뉴스 컨텐츠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및 수용, 즉 미디어 리터러시의 함양이 논의되고 있음.● 미디어 리터러시는 가짜 뉴스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뉴스의 진위 여부를 비롯한 뉴스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는 단서를 알려줌으로써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동기와 능력을 제고할 수 있음.● 그러나 가짜 뉴스에 대한 대안으로서 뉴스의 진... |
| 연구내용 |
● 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수준이 친/반태도적 뉴스 기사의 지각, 판단,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뉴스 지각, 판단, 수용을 이끄는지, 혹은 반대로 확증편향을 유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함.● 의 수행을 위해 2(미디어 리터러시 영상 시청 vs. 비시청) x 2(친태도적 vs. 반태도적 뉴스 노출), 총 4가지 조건을 구성해 ... |
| 기대효과 |
● 본 연구의 목적은 1)비판적 사고가 (친태도적 vs. 반태도적) 뉴스의 진위 여부, 중립성, 정보적 가치를 판단하고 나아가 뉴스를 수용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임. 나아가 비판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웹 기반 뉴스 평가 시스템의 효용성을 분석하여 가짜 뉴스의 확산에 대한 대응으로서 비판적 사고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 |
| 키워드 |
미디어 리터러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가짜 뉴스, 정보 진위성, 웹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고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