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신경은 전기적 흥분의 전도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한다.  그러나 뇌 기능의 복잡성은 전기적인 커뮤니케이션 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최근 신경세포가 EV (Extracellular vesicle; 외포낭) 라 불리는 세포소기관을 통해 유전정보 및 단백질을 다른 신경세포 혹은 혈액을 통해 다른 조직세포에 전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EV를 통한 뇌신경의 ... | 
                            
                            
                                | 연구내용 | 
                                -SHIELD 와 eFLASH 를 EV관련 유전학 표지기술들과 결합하여 생쥐 뇌 신경의 EV네트워크 매핑을 최초로 실현하고자 함.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SHIELD와 eFLASH라는 기술의 독창성 이외에도, 두 기술의 결합에 의한 시너지를 통해 기존 EV관련 유전학 표지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여 EV네트워크 매핑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임. 1. EV... | 
                            
                            
                                | 기대효과 |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해 EV네트워크의 매핑이 가능해 진다면, 신경세포간 및 뇌-몸 상호작용과 관련 뇌질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게 될 것임. 또한 특정 EV의 선택적 조절과 특정 EV 의 engineering을 가능케 하여, 살아있는 생명체 내에서의 EV기능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인체 내의 특정 신경세포를 분자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의... | 
                            
                            
                                | 키워드 | 
                                분자교류, 네트워크, 매핑, 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