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6
2024-05-21
내역사업 | G-CORE 사업 |
---|
과제명 | 아바타를 활용한 운동 질환 치료제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5404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0 | 총연구기간 | 2020-07-01 ~ 2021-06-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0-07-01 ~ 2020-12-31 |
연구목표 | 본 사업을 통하여 운동질환 중 근긴장이상증, 파킨슨등의 신경회로 기반으로 한 타깃 약물을 설정한 후,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 동물 실험에서 행동양식은 질병의 진단이나 분석 및 치료정도를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자세한 분류와 정확도는 약물 스크리닝시치료율을 더욱 정확하게 가려냄으로써,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 | ||
---|---|---|---|
연구내용 | 첫째, 근긴장이상증의 경우, 뇌 회로 타깃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신 근긴장이상증 모델인tottering 마우스를 이용한다. DRN의 GABA neuron의 역할을 알기 위한 Gad2 cre와 tottering 마우스와의 교배를 통해 모델 획득 후, 광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DRN에서의 fDCN로의 output을 ChR2을이용하여 특정회로를 활성화함으... | ||
기대효과 | - 현재까지 약물치료가 시도된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큰 증상의 호전을 얻지 못했으며, 모든 환자에게최고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단일 약품이 없다. - 신경회로를 기반으로 한 타깃 약물의 선정과 ABATAR을 활용한 정밀분석은 효과적인 치료제를 찾는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연구성과는 지식재산 측면에서 국내 및 해외특허를 획득하여 기술이전을 통한 임상연구를 진입... | ||
키워드 | 아바타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간 과학과 기술 > 뇌과학 > 뇌인지 > 행동신경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9,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