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 원전 소프트웨어 정량적 평가 방법론 및 원전 기술기준 체계 검증■ 전력품질 저하 영향인자 평가 분석 및 검증■ 설계기준사고 대응 능력에 대한 인적수행도 기반 인간공학 평가 방법 검증■ 원전 소프트웨어 정량적 신뢰도 평가 심사지침(안) 개발■ 전력품질 평가방법 모델 평가 및 전력품질 심사지침(안) 개발■ 원전 상용 디지털 기기 심사지침(안) 개발■ 통합 ... |
연구내용 |
[1차년도]■ 원전 디지털 I&C 규제 인프라 체계 정비 방안 개발■ 상용 디지털기기의 인증절차 분석 및 SIL 기반 적합성 검증 도입 방안 수립■ 국내외 인간공학 규제기술 현황 분석■ 관련 기술·정책 현황 및 차이(갭) 분석을 통한 현 기술수준 및 목표 기술수준 도출[2차년도]■ 기존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 분석 결과 검증 ■ 국내 규제요건과 IEC 기술... |
기대효과 |
- 정량적 소프트웨어 신뢰도 평가 규제기술 정립을 통한 원전 디지털 계측제어계통의 설계 및 운영 안전성 향상에 기여- 원전 상용 디지털 기기에 대한 개선된 규제입장 개발로 인한 인허가 심사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 제고- 전력계통 결상고장, 과도현상 및 전력품질에 민감한 부하의 영향 평가 및 분석을 통해 원전 전력계통의 안전성 제고에 기여- 디지털 기술이 적... |
키워드 |
디지털계측 및 전력계통,소프트웨어 신뢰도,전력품질,디지털 상용기기 ,인간-기계 연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