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1
2024-05-21
내역사업 | <보안과제> |
---|
과제명 | <보안과제>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0858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8-03-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다강체 물질은 전기적인 질서 변수와 자기적인 질서 변수가 서로 결합되어있어 전하와 스핀을 모두 정보 저장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소자 대비 하나의 저장소에 다양한 전기, 자기적 상태를 만들 수 있어 초소형, 초저전력, 초고집적화된 차세대 메모리 소재의 유력한 후보 물질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다강체 물질은 강자성 특성을 구현하는 원소들, 즉 전기... | ||
---|---|---|---|
연구내용 | 기존에 많이 연구되었던 비스무스페라이트(BiFeO3)는 단일 물질로서는 유일하게 상온에서 다강성을 지니지만, 강유전 특성과 반강자성 특성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반강자성 때문에 자기 분극의 효과가 미미하여 메모리 소자로 쓰이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다강성을 지니는 물질은 누설 전류가 커서 강유전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도전적이다. 산소 결핍된 니... | ||
기대효과 | 압전감응 힘 현미경에 통계적인 기법을 이식하여 기존 측정 방법으로는 강유전 특성 측정이 어려운 다강체 물질의 강유전 특성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분석한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이력곡선 측정의 한계를 극복한 방법으로 데이터 수를 비약적으로 늘려 과학적 분석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강유전 분극 분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다강성을 지니게 되는 메커... | ||
키워드 | 압전감응력현미경, 초고속영상화, 리소그래피, 전기기계결합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타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재료 > 분석/물성평가기술 > 재료구조/조직 분석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보안과제>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보안과제>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0,75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