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8
2024-05-21
내역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1년~5년) |
---|
과제명 | 공간 혼재가 존재하는 경우 공간 및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코플라 기반 의존 모형 구축과 이에 근거한 예측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1175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6-01 ~ 2022-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현재 관측되는 공간 데이터에 대해 회귀 모형을 가정할 경우, 많은 경우에 있어서 잔차는 공간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게 되며, 공간적으로 구조화된 공변량들은 때때로 공간 효과와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공간적 혼재(confounding)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대기 오염에서 규모가 큰 지역에서 공간 효과는 식단과 소득, 그리고 건강을 위협하는 ... | ||
---|---|---|---|
연구내용 | 1차 년도에서는 공간 혼재가 존재하는 공간 및 시공간 효과 모형에서 공간 효과인 랜덤 효과와 반응변수의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변량들 대해 C(canonical)와 D(drawable) vine 코플라 기법을 이용하여 의존 모형과 관측된 공간 데이터에서 근접 지역들 사이에 대한 공간 의존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의존 모형에 근거... |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코플라 기반의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의존 모형 구축은 공간 혼재 효과를 고려한 모형으로써, 이는 현재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인 극단적인 사건들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한다. 지금까지 공간 통계 모형들은 공간 혼재 효과를 간과한 채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발생할 ... | ||
키워드 | 공간 혼재,시공간 모형,코플라,기록값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IT(정보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수학 > 통계이론 > 베이지안추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기타 공공목적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안동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안동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