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상미분 방정식, 확률 미분 방정식, 확률적 전역 최적화 방식을 이용한 세계최초의 인간 생체리듬 수리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모델을 바탕으로 제약회사(Pfizer Inc.)와 함께 인간 생체리듬의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한 신약(PF-670462)을 개발할 것이다. 이는 수학이 복잡한 생물학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신... |
| 연구내용 |
현재 80%이상의 인간은 일몰 후에도 인공조명에 의해서 교대 근무 방식 (shift work lifestyle)의 생활을 하고 있다. 이것은 생체리듬(circadian rhythm)을 불안정하게 하여 수면장애, 당뇨 그리고 암과 같은 만성질병의 발병 확률을 2배 이상 높인다. 이러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신약개발은 큰 주목을 받고 ... |
| 기대효과 |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신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다른 약들과는 다르게 야행성 동물인 쥐에서 얻은 임상 실험결과를 주행성인 사람으로 단순히 확장(translation) 시킬 수 없다는 것을 수리모델을 통해 알아냈다. 구체적으로, 종간의(interspecies) 빛에 의한 민감도(photosensitivity)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복용 시간,... |
| 키워드 |
생체 시계, 신약 개발, 수리 모델링, 개인 맞춤형 치료 |